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생학습 텍스트로서 대중문화의 가능성

이용수 700

영문명
Popular culture as a text for lifelong learning : The case of Netflix, “Squid Game”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김한별(Kim Hanbyul)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7권 제4호, 267~28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대중문화 확산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문화적 취향과 기호가 대량으로 복제, 생산, 소비되는 증거이면서, 동시에 대중문화가 개개인의 일상적 생활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광범위한 무형식 학습의 계기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 텍스트로서 대중문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최근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드라마, 『오징어 게임』사례를 중심으로 드라마 시청자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징어 게임』은 드라마 속 게임의 구조와 장치들, 그리고 참가자들의 상황적 조건들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 사회구조 속에서 자연스럽게, 그러나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속성을 은연중에 재현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속성이 게임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동조에 의해서 정당화되는, 즉 헤게모니의 작용 매커니즘도 묘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오징어 게임』의 전 세계적 흥행 성과를 다루는 언론의 접근방식에서 민족주의 담론이 우세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우리 대중문화의 글로벌한 성장 가능성보다는 그 성공 요인이 지니고 있는 ‘한국적’인 가치에 더 주목하는 국수주의적 가치를 조명함으로써 로컬한 만족을 강화하고 생산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e spread of popular culture is evidence that the cultural tastes and preferences of various members of our society are reproduced, produced, and consumed. It is also considered as an opportunity for a wide range of learning that can take place in the lives of individuals. This study is aimed at, focusing on the case of 『Squid Game』, examining what viewers can learn by watching dramas, which is a genre of popular culture. By doing so,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popular culture as a public pedagogy. 『Squid Game』points out the three neo-liberalism’s influences on the structure of today’s society. At the same time, it describes the hegemonic mechanism by which the neo-liberal discourse are justified through the voluntary conformity of game participants. It also addresses that nationalist discourse is predominantly working in the media that deals with the globally successful performance of 『Squid Game』. By over-emphasizing ‘Korean’ aspects of its success, it create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and producing local satisfaction, instead of developing the potential of our popular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대중문화의 교육적 논의: 성인교육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Ⅲ. 대중문화 텍스트로서 드라마의 실제 : 『오징어 게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별(Kim Hanbyul). (2021).평생학습 텍스트로서 대중문화의 가능성. 평생교육학연구, 27 (4), 267-285

MLA

김한별(Kim Hanbyul). "평생학습 텍스트로서 대중문화의 가능성." 평생교육학연구, 27.4(2021): 267-2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