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토주의적 시각을 넘어 한일 연대와 평화 확립의 가능성을 말하다

이용수 0

영문명
Overcoming the Territorial Nationalism, Narrating the Possibilities for Cementing Peace an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the future-oriented Korean-Japanese Relations, based on conscience and common struggles’ experience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박노자(Vladimir Tikhonov)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14호, 343~36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과거, 주로 식민지 시기의 한-일 연대 투쟁의 경험에 기반하여 앞으로의 한-일 민간 사회 사이의 바람직한 관계의 발전적인 가능성들을 모색해보는 시도이다.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연대’는 무엇보다 어느 한 쪽의 ‘맹주론’, 즉 그 어떤 불평등한 전제조건들도 수반하지 않는, 한-일 양쪽 민중의 교류와 공동의 투쟁을 뜻한다. 따라서 묵시적으로나마 ‘일본맹주론’을 저변에 깔았던 구한말 시절의 일본 범아시아주의자들의 ‘연대’를 가장한, 내지 표면적으로 ‘연대’의 기치를 내세운 제반 시도들을 여기에서 제외시키고, 아울러 한국인의 ‘열등성’을 전제로 하는 식민지 시기의 각종 부일(附日)협력 행위들과 엄격히 구분시키려고 한다. 그리하여 여기에서 주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매우 급진적인 (사회민주주의와의 경계선에 선) 자유주의자나, 사회민주주의자, 공산주의자 내지 무정부주의자 등 일본제국에 비타협적으로 저항한 만큼 또 하나의 저항주체인 조선민족과 평등한 동지적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그나마 보였던 부류들이다. 조선 독립의 가능성을 인정할 수 있었던 매우 급진적인 – 거의 사회민주주의자에 가까운 - 자유주의자로 법조인 야마자키 게사야와 같은 양심 인사들을 언급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일본인 반체제 투사들과 함께) 조선 및 대만의 반체제 투사들을 변론해준 후세 다쓰지는 대체로 사회민주주의적 성향으로 분류된다. 마찬가지로 1920년대 반(反)식민지 문학의 창시자인 나카니시 이노스케도 – 비록 전후에 공산당에 입당했지만 – 그 당시로서는 사회민주주의자에 가까웠다. 그들보다 훨씬 더 많은 희생을 치르면서 조선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여 억압적 체제에 같이 맞섰던 이들은 바로 학계(미야케 시카노스케 교수)나 가장 선진적인 대기업들에서 (이소가야 스에지) 공산주의적 운동을 전개한 투사들이었다. 일본 ‘내지’와 중국에서 한-중-일 무정부주의자들의 연대투쟁도 1920년대 초반부터 꽃피웠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도들의 의미를 높이 사는 동시에, 그 한계도 지적해야 한다. ‘평등한 공통투쟁’이라 해도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길러낸 아비투스가 그대로 작동돼 일본 내 공산주의적 조직 안에서도 조선인들을 타자화시킨 일이라든가 일본 무산계급 작가들의 작품 (오구마 히데오, 『장장추야』)에서 조선을 여성화시켜 오리엔탈리즘 논리의 적용 대상으로 만드는 등 반체제 투사들도 체제의 논리로부터 전혀 자유롭지 못했다. 결국 일제의 패전 이후에는 무장투쟁 등 다양한 모색의 기간을 거친 일본공산당은 1955년6월의 제6차 대회 이후에 체제내 편입의 길을 택함과 동시에 (일차적으로 일본내의) 조선인 문제에 대한 관심을 거의 끊어버리고 말았고, 비슷한 시기에 북조선도 마르크스-레닌주의적 국제주의보다 훨씬 더 민족주의적인 노선으로 가게 됐다. 이렇게 해서 식민지 시기 한-일 연대 투쟁의 유산은 점차 역사 속에 묻히게 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at searching for the positive perspectives in developing Korean-Japanese ties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 common solidarity in the anti-imperialist struggl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Solidarity’ here denotes essentially a common struggle ‘from below’ not based on the assumptions of immanent inequality between the two sides, or on the hegemonic ambitions of one of them. Thus, the Pan-Asianists in Meiji Japan, despite all their professions of ‘solidarity with Korea/Asia’, are excluded here, since their movement was almost always based on the assumption of the Japanese hegemony. The so-called ‘solidarity’ between colonial collaborators and the Japanese Empire is excluded as well, since it was not a movement ‘from below’, and also because it was based on the assumptions of Korean inferiority. Here, I mostly focus on the radical (almost to the degree of standing close to Social-Democrats) liberals, Social-Democrats, Communists and Anarchists of Japan in the 1910s-40s; in the process of their uncompromising struggle against the imperial state, they were more open than others, to building more equal, comradely ties with the struggling Korean people. Such people of conscience as advocate Yamazaki Kesaya, a liberal who once was a semi-Socialist, and who was willing to acknowledge Korea’s independence, are dealt with here; together with Yamazaki, I write also on his lawyer colleague, Fuse Tatsuji, a Social-Democrat, who was famed for defending at court both Japanese and Korean/Taiwanese radicals and militants. Yet another Social-Democrat of Taishō Japan mentioned here (he entered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after 1945) is Nakanishi Inosuke, one of the pioneers of 1920s anti-colonial literature in Japan, who worked mostly on the Korean material. However, such Communists or Communist-leaning workers’ radicals as Miyake Shikanosuke (Keijō Imperial University professor) or Isogaya Sueji (worker at Hamhŭng Nitrogenous Fertilizer Plant) were in fact making incomparably bigger sacrifices than Social-Democratic intellectuals, since Communist party and its ideology were in principle outlawed in Imperial Japan. Along with Communists, the Anarchists of Korea and Japan were actively collaborating in the 1920s-1940s both in Japan proper and in exile in China – often together with their Chinese comrades. However, all these encouraging examples of genuine internationalism notwithstanding, the “solidarity of the oppressed” between the colonizers (Japanese) and the colonized (Koreans) had its obvious limitations. The imperial habitus – the customary belief in ‘backwardness’ and ‘inferiority’ of the colonized – did not fully disappear even inside the ranks of the people dedicated to Empire’s eventual destruction. Koreans were often Otherized even inside Communist and ‘Proletarian’ organizations; some of proletarian literature masterpieces dealing with Korea (for example, Oguma Hideō’s Long Autumnal Night) portray it as a feminized, essentially non-masculine subject, completely in line with Orientalist stereotypes. Then, after the Japanese Empire ceased to exist in 1945 and its former anti-systemic rebels were at last incorporated into the various state systems, their latent nationalism became even more visible.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as it ceased any attempts at radically confronting the new Japanese state and its US backers at its Sixth Congress in July 1955, almost stopped to show any significant interest to the Korean issues (first and foremost, the problems of Japan’s own resident Koreans, who mostly had to leave the Party shortly thereafter). In the late 1950s, the North Korean leadership as well, already mostly purged from the Korean Communists with either Soviet or Chinese background, launched on a markedly more nationalist course, soon showing visible differences with ‘internationalist’ orthodoxy of Soviet Marxism.

목차

1. ‘민족’, 내지 절대화된 경계선
2. 한일 연대의 시점
3. 결론을 대신하여 – 식민지 구획선 넘기와 그 한계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노자(Vladimir Tikhonov). (2013).영토주의적 시각을 넘어 한일 연대와 평화 확립의 가능성을 말하다. 독도연구, (14), 343-363

MLA

박노자(Vladimir Tikhonov). "영토주의적 시각을 넘어 한일 연대와 평화 확립의 가능성을 말하다." 독도연구, .14(2013): 343-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