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대변화에 따른 창작판소리의 특징 연구

이용수 183

영문명
Research into the Characteristics of New Pansori that Changes with the Times: Focusing on the major works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김명자(Kim, Myung-Ja)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6호, 9~3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시대에 따라 창작판소리의 변화하는 양상과 대표작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창작판소리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시대를 반영한 작품을 만들어서 당대 청중과 함께 호흡하는 것이다. 그것이 제대로 되었을 때만이 창작판소리의 미덕이 발휘된다. 창작판소리의 성공 요인은 이야기를 만드는 사설의 창작과 시대를 반영한 연행 양식에서 표출된다고 보았다. 사설과 연행 양식적인 면을 감안하여 큰 족적을 남긴 작품을 세대별로 꼽아보니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제1세대는 해방전후의 박동실 <열사가>, 제2세대는 1960년대의 박동진 <예수전>, 제3세대는 1980년대의 임진택 <똥바다>, 제4세대는 2000년대의 김명자 <슈퍼댁 씨름대회 출전기>, 제5세대는 글로벌 세대의 이자람 <사천가>이다. 이 작품들의 공통점을 보면 첫째 작가의 역량이 바탕이 된 완성도 높은 텍스트, 둘째 시대를 반영한 연생방식 셋째, 시대적 공감을 통한 청중의 높은 호응, 넷째 현재까지도 공연이 되는 긴 생명력을 들 수 있다. 창작판소리는 소수의 애호가로부터 시작해서 지식인층을 거쳐 근래 다수의 일반 대중으로 관객층이 이동되었다. 2000년대부터는 일상적인 이야기를 끄집어내어 보다 친근하고 단순한 판소리의 양식을 부각시켰고 이후 극장으로 들어가 작품의 수준을 높이고 있다. 대표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1세대 박동실의 <열사가>는 전통 판소리의 음악을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사설은 비분강개(悲憤慷慨)한 감정을 특화시켜서 비장미 위주의 특징을 보인다. 제2세대 박동진의 <예수전>으로서 주태익이라는 최고의 작가적 역량과 박동진 광대적 기량의 합작, 라디오드라마라는 매체를 이용한 것, 파격적인 서양 종교적 내용을 한국적으로 소화한 것에 있다고 보았다. 제3세대 임진택의 <똥바다>는 당대의 현실비판과 풍자 그리고 빛나는 골계미적 언롱(言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제4세대 김명자의 <슈퍼댁 씨름대회 출전기>는 직선적이고 단편적인 서사 전개와 트랜드의 추가, 유희성의 극대화, 단순하고 경쾌한 음악어법의 부각, 현장 관객과의 밀착 호흡으로 보았다. 제5세대 이자람의 <사천가>는 전문가들의 협업 시스템, 연극성의 강화, 저본의 세계화로 본다. 이런 흐름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ing aspec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ges of the major works of new Pansori.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new Pansori is to produce works that reflect the times and breathe with the contemporary audience. Only when this function is properly fulfilled is the virtue of new Pansori exhibited. The main cause of the success of new Pansori is taken to be the creation of a narrative that tells a story and a performance style that reflects the times. Considering the narrative and performance style, the following were selected by era as works that have left a great legacy: First generation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Park Dong-Sil’s ‘Yeolsaga’; Second generation (1960s) Park Dong-Jin’s ‘Yesoojeon’; Third generation (1980s) Im Jin-Taek’s ‘Ddongbada’; Fourth generation (2000s) Kim Myung-Ja’s ‘Superdaek Ssireumdaehwe Chuljeongi’; Fifth generation (global era) Lee Ja-Ram’s ‘Sacheonga’.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se works include: firstly, a text that has a level of completion, grounded on the composer’s capability; secondly, the audience’s high level of acclaim as a result of the work being in tune with the times; thirdly, longevity, with the work being performed up to the present day. New Pansori began with only a few enthusiastic supporters but has moved in terms of its audience to the mainstream of the general public via the intelligentsia. From the 2000s, more everyday stories have been drawn out, highlighting a more familiar and simple form of Pansori, and the standard of work has been raised as Pansori has moved into the theat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as follows: First generation: Park Dong-Sil’s ‘Yeolsaga’ completely adopted tradition Pansori music but its narrative specializes in the emotion of sorrowful indignation and show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ragic beauty. Second generation: Park Dong-Jin’s ‘Yesoojeon’ is the combined work of Joo Tae-Ik’s superlative writing capabilities and Park Dong-Jin’s talent for entertainment. Its features are that it uses the medium of radio drama, and it digests shocking Western religious content in a Korean way. Third generation: Im Jin-Taek’s ‘Ddongbada’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critical of the realities of the day, being satirical and its ‘unlong’[traditional type of song] has a shining comedic aesthetic. Fourth generation: Kim Myung-Ja’s ‘Superdaek Ssireumdaehwe Chuljeongi’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traightforward and fragmentary unfolding of its narrative, maximization of playfulness, a simple and cheerful musical grammar that is prominent, and a breathing together with the audience present. Fifth generation: Lee Ja-Ram’s ‘Sacheonga’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experts, the strengthening of theatrics, and the globalization of the story base. These currents continue to the present.

목차

1. 들어가며
2. 창작판소리의 역사적 흐름
3. 창작판소리 대표작의 특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자(Kim, Myung-Ja). (2020).시대변화에 따른 창작판소리의 특징 연구. 지식과 교양, (6), 9-35

MLA

김명자(Kim, Myung-Ja). "시대변화에 따른 창작판소리의 특징 연구." 지식과 교양, .6(2020): 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