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리정악 시김새의 음고변화 연구

이용수 70

영문명
Study on the Change in Pitch in Piri Court Music Sigimsae -Focusing on Pyeongjo dugeo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성진(Kim, Sung J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4집, 85~11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평조에서의 피리정악 시김새의 음고변화를 규명해내는 논문으로, 피리독주 평조두거에 출현하는 음의 음고를 측정하여 기준음고로 삼고, 평조두거에 출현하는 피리정악 시김새 중 추성과 퇴성의 음고변화를 측정하여 기준음고 대비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한 논문이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고분석은 1박 이상의 지속음을 측정 대상으로 하며, 지속음에서 시김새가 들어간 부분을 제외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음의 평균값으로 대표값을 구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출현음의 음정관계를 보면 평균율의 장2도(200cent)와 비교할 수 있는 㑖-㑣, 黃-太, 仲-林의 간격이 평균율보다 좁게 나타났으며, 평균율의 단3도(300cent)와 비교할 수 있는 㑲-黃, 太-仲의 간격은 평균율보다 넓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김새의 음고변화 분석은 추성과 퇴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평조두거에서 추성은 출현음 중에서 㑲, 仲, 潢에서 총 7회 나타난다. 추성의 음고변화를 살펴보면 기준음고보다 평균적으로 160cent 상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재국 연주의 평조두거에서 장2도와 비교할 수 있는 黃-太, 仲-林, 㑖-㑣의 간격과 비슷하다 할 수 있으며, 음계 바로 위 음에 가깝게 끌어올린다고 할 수 있다. 평조두거에서 퇴성은 출현음 중에서 㑲, 太, 仲, 林, 南에서 총 49번 나타나며 순차적인 하행진행에서 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퇴성의 폭과 기준음고의 음정관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특징적인 부분은 仲에서의 퇴성으로 㑲의 퇴성이 197cent 하행, 太의 퇴성이 126cent 하행, 林의 퇴성이 152cent 하행, 南의 퇴성이 139cent 하행하는데 비해 仲은 09cent를 하행한다. 이는 평조의 음계에서 다른 음정들은 모두 평균율의 장2도(200cent)에 가깝지만, 仲에서 太 사이의 음정은 단3도(300cent)에 가까운 음정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를 볼 때 퇴성은 어느 음에서나 똑같은 크기로 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음계의 아래 음에 가깝게 하행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피리독주 평조두거의 음고와 시김새 음고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음고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음고보다 높고, 음정은 평균율의 장2도(200cent)와 비교할 수 있는 음정은 좁았으며, 단3도(300cent)와 비교할 수 있는 음정은 넓게 나타났다. 시김새의 음고변화는 추성의 경우 평균 160cent 상행하였으며, 퇴성의 경우 음계의 아래 음에 가깝게 하행 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sigimsae in Piri Court Music that is performed in the mode of Pyeongjo. This is to identify the change in pitch. It measures the pitches of each note appear in Pyeongjo dugeo in Piri solo. I will set the pitch employed in Pyeongjo dugeo as standard pitch, in order to look into the variations of the pitch of chuseong and toeseong performed in sigimsae in Piri Court Music, and analyze the alterations of the pitch occurred in them,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pitch. As a result, I learned the followings. For the analysis of Eumgo (Pitch-Height), I examined certain notes, which endure at least as long as for 1-beat duration, or longer. When carrying out this examination, I excluded the parts where sigimsae is added from a sustained tone. I set the average value of a measured note as the representative tone. It is arranged as follows. When reviewing the interval relations of the notes appeared, the intervals of 㑖-㑣, 黃-太, 仲-林, which is comparable to major 2nd, are found to be narrower than equal temperament (200 cents) and, the intervals of 㑲-黃, 太-仲, which is close to minor 3rd, are discovered to be wider than the identical temperament (300 cents). The change in Pitch-Height in sigimsae is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two groups, chuseong and toeseong. Chuseong in Pyeongjo dugeo appears 7 times in total, in 㑲, 仲, and 潢 notes. As examining the changes occurred in the tone of chuseong, it is found that the pitches of notes in chuseong got higher by 167 cents by average, than the standard Pitch. This is similar to the interval of 黃-太, 仲-林, and 㑖-㑣, which is alike to the major 2nd, which is observed in Pyeongjo dugeo performance by the master performer Jeong Jae Guk, and this represents that chuseong influences a note to follow close to the note just above the scale. Teoseong in Pyeongjo dugeo appears 49 times, in total, in 㑲, 太, 仲, 林, and 南, usually in sequential descending no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dth and the musical intervals of standard Pitch-Height of toeseong is not significant. It is notable that while toeseong in 㑲 from that in 仲 descents 197 cents, toeseong in 太 gets lower by 126 cents, whilst toeseong in 林 fall by 152 cents, and that in 南 drops by 139 cents and 仲 by 309 cents. Such changes in pitch is thought to occur, because all musical intervals in Pyeongjo scale are close to major 2nd (200 cents), but the differences in the intervals between 仲 and 太 are similar to minor 3rd (300 cents). From this fact, it is clear that toeseong do not descents with the same breath, but fall closer to the note just below the scale. By analyzing the pitch and the changes occurred in the pitch of sigimsae in Pyeongjo dugeo of Piri solo, it is found that the pitch is higher than the note, which was generally known, and that the musical interval, which is close to major 2nd, is narrower, while the intervals that is similar to minor 3rd is wider. In terms of the alterations appeared in pitch in sigimsae, chuseong ascents by 167 cents in average, whereas toeseong falls closer to the note just below the scale.

목차

Ⅰ. 서론
Ⅱ. 평조두거 음고분석
Ⅲ. 시김새 음고변화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진(Kim, Sung Jin). (2021).피리정악 시김새의 음고변화 연구. 국악원논문집, 44 , 85-116

MLA

김성진(Kim, Sung Jin). "피리정악 시김새의 음고변화 연구." 국악원논문집, 44.(2021): 85-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