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초기 향당교주의 중심음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0

영문명
A Study on the Central Tone of Hyangdang Gyoju in the Early Joseon Period - Focused on Hyangak and Dangak Instruments and Musical Pieces recorded in Akhakgwebeom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임영선(Lim, Youngsu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4집, 291~3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 초기의 향ㆍ당악 혼재 양상과 향당교주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향당교주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 초기 음악 내용이 집대성된 󰡔악학궤범󰡕을 주요 분석 사료로 삼았다. 먼저 권1을 중심으로 당시 향당교주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을 향ㆍ당악 이론 및 기보체계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권2와 권7을 중심으로 향당교주 악대에 편성된 악기들의 산형에 기록된 중심음을 검토한 후, 향당교주로 연주된 악곡들의 중심음을 󰡔세종악보󰡕, 󰡔세조악보󰡕, 󰡔대악후보󰡕 등을 통해 확인하여, 조선 초기 향당교주의 중심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악학궤범󰡕에 기록된 향ㆍ당악 이론 및 기보체계를 살펴본 결과, 조선 초기 향ㆍ당악 이론은 아악 이론을 준거틀로 삼아 조선 향악의 특징을 일목요연하게 기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기보체계에 있어서는 향악 기보법인 상하일이 지법과 당악 기보법인 공척보를 일관된 원리로 서술하였으며, 두 기보법을 병용하여 신악 등 향ㆍ당악의 특징을 모두 갖춘 음악을 기보할 수 있는 체계가 정립되어 있었다. 이러한 향ㆍ당악 이론 및 기보체계는 세종대 이래 성종대까지 누대에 걸쳐 정립된 것으로, 향당교주를 일관된 원리로 이해하고 기록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향당교주 악대에 편성된 악기들의 산형을 󰡔악학궤범󰡕 권7로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당악기 산형에는 청황종이 궁으로 표기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향악기인 대금에는 1지에서 7지까지의 산형이 실려 있는데, 그중 청황종을 궁으로 삼는 팔조에만 공척보가 표기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향악기와 당악기가 함께 연주할 때에 궁, 즉 중심음을 청황종으로 맞추고 합주하였을 개연성을 제시하였다. 이 개연성을 염두에 두고 당시 향당교주로 연주된 악곡들의 중심음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악곡이 청황종궁조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조선 초기 향당교주로 악곡을 연주할 경우, 향악기와 당악기가 중심음을 청황종으로 맞추고 합주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기 향당교주라는 새로운 연주 방식이 생겨났다는 점은 선학들의 연구를 통해 학계에서 주지하는 바이었다. 그러나 그간 향ㆍ당악기의 실제 합주 내용에 대해서는 다소 막연하게 여겨진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당교주의 실제 연주에 대한 작은 단서가 밝혀졌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provided generous opportunities to researchers and music lover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how Hyangdang gyoju was performed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period.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Hyangdang gyoju, and the patterns of mixture of Hyangak and Dangak in the early Joseon era. For this purpose, Akhakgwebeom, a compilation of music contents of the time, is used as the major analysis material. First of all, the Hyangak and Dangak theories and notation systems, which apparently we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yangdang gyoju, have been examined by looking into Vol.1 of the compilation. Following it, the central tone, recorded in the Sanhyeong (Instrumental Tonal Structure) of Hyangdang gyoju band instruments, was studied, focusing on Vol. 2 and 7. Finally, the central pitch of Hyangdang gyoju of the early Joseon era has been examined by investigating the pivotal tones of the musical pieces performed with Hyangdang gyoju, appeared in Sejongakbo, Sejoakbo and Daeakhubo. Theories applied in Hyangak and Dangak and notation systems documented in Akhakgwebeom revealed that the theories adopt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Hyangak, using the Aak theory as a framework. Regarding the notation system, the Sanghailiji-beop , which was employed to notate Hyangak, and Gongcheokbo that was the Dangak notation system, were adopted with identical applications. And a new system to document music, equipped with features of both the Hyangak and Dangak, which was named as Sinak (new music), was established, employing these musical not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Hyangak and Dangak theories and notation systems, which were established for generations throughout the King Sejong to Seongjong periods, became a theoretical background to appreciate and record Hyangdang gyoju with consistent principles. The study of the instruments employed in the Sanhyeong performance in the Hyangdang gyoju band in Akhakgwebeom Vol. 7 also revealed that Cheonghwangjong was referred to Gung (the first tone) in most of the Sanhyeong musical pieces of Dangak. For daegeum, which is a Hyangak instrument, seven Sanhyeongs are recorded, and Gongcheokbo was mentioned only in Paljo where Cheonghwangjong is used as Gung. This suggests the probability that when Hyangak and Dangak instruments were played together, the Gung or the central tone, was set to Cheonghwangjong . Having this possibility in mind, I looked into the central notes of the musical pieces performed with Hyangdang gyoju , and discovered that most musical pieces of early Joseon times were in Cheonghwangjong gungjo. Based on this, this research has determined that Hyangak and Dangak instruments were played together, by setting the Cheonghwangjong as the principal tones when playing Hyangdang gyoju during the early Joseon era. It is a known fact that a new performance technique called Hyangdang gyoju was developed during this time perio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previous studies carried out by earlier scholars. The ensemble contents of Hyangak and Dangak instruments, however, so far, have been considered to be somewhat vague. I argue that my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clues about the actual performance of Hyangdang gyoju were revealed by this research.

목차

Ⅰ. 머리말
Ⅱ. 󰡔악학궤범󰡕 권1에 기록된 향ㆍ당악 이론 및 기보체계
Ⅲ. 향당교주 악대에 편성된 향ㆍ당악기 산형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중심음
Ⅳ. 향당교주 악대가 연주한 여러 악곡의 중심음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영선(Lim, Youngsun). (2021).조선 초기 향당교주의 중심음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44 , 291-318

MLA

임영선(Lim, Youngsun). "조선 초기 향당교주의 중심음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44.(2021): 291-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