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강-미호천 유역 구석기 공작의 성격 고찰

이용수 293

영문명
An Observation of Palaeolithic Industry from the South Han-Miho River Area, Korea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유용욱(Yoo, Yongwook)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0집, 1~4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반도 구석기의 핵심 지역인 남한강과 미호천 유역 구석기 유적 및 유물군의 전반적 성격을 고찰하는 광역적 연구이다. 그리고 이 지역의 연구를 더욱 진작시키기 위하여 배경 지식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 지역은 충청북도 및 남한강의 지류와 미호천이 파급하는 강원도와 경기도, 대전광역시 일부를 포함한다.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유적들이 분포하는 지역을 통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크게 6개의 세부 지역군을 설정하고, 이 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 유물군의 형성 과정 및 전반적 석기군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남한강–미호천 유역 구석기 유적의 유물군과 연대치 및 유적 형성 과정을 검토한 결과, 이 지역 구석기 유적은 중기갱신세까지 소급하는 유적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후기갱신세의 연대를 가진다. 고인류는 MIS 5기부터 남한강 하류를 기점으로 꾸준히 이 지역을 점거해 나갔으며 소백산맥 부근의 남한강 상류역 및 충주호 일대에서 인구 확산의 병목 현상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수양개와 남한강 지류 최상류의 영서지방 유적들은 상당히 높은 고도에 위치하는데, 이 유적들은 후기 구석기 단계에 양질석재와 동물자원의 확보에서 비롯하는 고지대 점거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늦은 시기에 단순한 Mode 1 공작이 유지되는 근거에 대해 석기 이외의 다른 유기물 도구가 석기를 대체하는 핵심 도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석기는 이러한 핵심 도구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보완재의 성격만 유지했으며, 이러한 보완재 성격의 석기는 심각한 시간과 노동력이 투입될 근거가 없기 때문에 편의적 수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설은 차후 실험 제작 및 직접 검증 가능한 중위이론의 고안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laeolithic assemblages from the South Han-Miho River Area(SHMRA), a core area of Korean palaeolithic research. It also intends to build a frame of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by synthesizing and summarizing fragmentary descriptions of individual sites as well as lithic assemblages. The SHMRA is located at the central zone of South Korea surrounded by the South Han River and the Miho River (a major tributary channel of the Geum River). In order to be approached at a wider regional scale, the SHMRA is divided into six sub-regions according to clustering patterns of sites; then the lithic assemblages of each sub-region are examined with emphasis on their formation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ype variability. The examination of formation processes and relevant published chronometric dates leads to a generalization that the SHMRA assemblages belong to Late Pleistocene. It can be reconstructed that the hominin groups of the SHMRA have begun to occupy this area from as early as MIS 5 along the stream channels of the South Han and the Miho Rivers. They might have continued to occupy the area until they underwent a bottle-neck at the upstream zone of the South Han River where the Sobaek Mountains blocked their southward propagation. This caused a sort of accumulated large population pool around the Chungju Lake and enabled some divergent movements up to the mountainous zone to the east and break-throughs to the south. The hominin occupation of high altitude zones was possibly initiated from the late MIS 3, as part of the emergence of the Upper palaeolithic in this area. This behavioral change corresponds to the strategic settlement and migration incurred by such changes as beginning of regular animal resource exploitation and of high-quality lithic raw material procurement. The lack of large pointed tools (handaxe and pick) and the dominance of simple chopper and polyhedron in the SHMRA assemblages indicate that pre-Upper palaeolithic assemblages of this area are categorized as a Mode 1 technology of East Asia. The anachronism of the SHMRA assemblages-very simple and crude toolkits in a quite young chronological context-arouses a question: what were the ultimat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young-but-unsophisticated Mode 1 assemblages. A hypothetical explanation can be made that stone tools in the SHMRA served as complementary items for making perishable primary living items out of organic materials and that local hominins were not obliged to be sedulous on such subsidiary items as stone tools. As a result, the nature of the SHMRA assemblage looks apparently unlabored and expedient. This hypothesis-stone tool as a complementary item for other important producer goods-needs proper middle-range theories that will be tested with available archaeological experimental data set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남한강-미호천 유역의 지역 구분과 제4기 환경 개관
Ⅲ. 남한강-미호천 유역 구석기 유적의 현황
Ⅳ. 고인류의 파급 과정과 석기 제작 기술의 특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용욱(Yoo, Yongwook). (2021).남한강-미호천 유역 구석기 공작의 성격 고찰. 호서고고학, 50 , 1-45

MLA

유용욱(Yoo, Yongwook). "남한강-미호천 유역 구석기 공작의 성격 고찰." 호서고고학, 50.(2021): 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