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이용수 546

영문명
Wide Area Network Structure in the Upper Paleolithic: Focused on Obsidian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장용준(Chang, Yongjoon)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0집, 46~77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후기구석기시대에 있어 주로 세석인을 사용했던 사람들은 흑요석을 중요한 석재로 인식하였다. 흑요석은 2.8~2.5만 년 전부터 철원, 연천, 포천, 인제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고, 세석인기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남부 각지로 옮겨졌다. 백두산 주변과 함경북도의 두만강 주변지대가 백두산 흑요석의 중요한 공급처였지만, 한반도 중부와 남부지역에서는 산지를 기반으로 한 원산지공급지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백두산 흑요석은 작은 석기나 예비 소재의 형태로 추가령 구조곡이 있는 중부지역으로 유입되었고, 이 지역을 거점으로 남부지역으로 백두산 흑요석은 퍼져갔다. 흑요석이 출토된 후기구석기유적은 연천, 인제, 철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과 그 주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를 검토한 결과, 추가령 구조곡 내 용암대지는 후기구석기시대의 핵심교통로이었음을 처음으로 파악하였다. 동북지역에서 남하하던 인류는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로 접어들면 구조곡 내 평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 지역이 바로‘추가령 구조곡의 도보길’이었다. 선사시대부터 추가령 구조곡은 흑요석 네트워크로 미루어 볼 때 한반도의 북부와 중남부지역을 잇는 가장 중요한 교통로였다. 후기구석기시대에 백두산 흑요석 루트는 A~C 루트(철원 루트, 인제-홍천 루트, 동해안 루트)가 있었으며, 철원 루트는 철원-포천 루트, 철원-연천 루트로 세분할 수 있었다. 후기구석기시대의 흑요석로 본 광역네트워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구석기인은 흑요석 네트워크를 통해 집단 간의 다양한 생존기술과 정보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한반도 중부지역에서는 추가령 구조곡을 중심으로 한 광역네트워크가 다른 지역보다 발달되어 있었다. 후기구석기인은 흑요석을 매개로 하여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공유하면서 서로의 정보와 소식을 나누는 무형의 공간을 창출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초록

In the Upper Paleolithic, people who mainly used microblades recognized obsidian as an important stone tool. From 28,000 years ago, obsidians were intensively excavated from Cheolwon, Yeoncheon, Pocheon, and Inje in Korea. These spread together as the microblade technique spread to the southern regions. The area around the Duman River in North Hamgyeong Province was an important source of obsidian from Mt. Baekdu. However,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ource-based supply zone could not be confirm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wher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s located, obsidians from Mt. Baekdu were brought in as small stone tool(blades, burins, microblades and microblade cores, endscrapers, flakes, smalls cores) and blanks. It was first identified that the lava plateau with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as a key migratory route for the Upper Paleolithic. When hunter-gatherers came down from the northeastern region to the southern region, they could move from Wonsan to northern Gyeonggi-do and northern Gangwon-do along the plain(lava plateau) in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n important way. This area was the ‘Path of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re were A-C routes (Cheolwon route, Inje-Hongcheon route, and East Coast route) in the obsidian route of Mt. Baekdu, and the Cheolwon route could be subdivided into Cheolwon- Pocheon route and Cheolwon-Yeoncheon route. The significance of the wide area network in terms of obsidian is as follows. First, people in Upper Paleolithic shared various survival skills and information among groups through the obsidian network. Secon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widearea network centered o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as more developed than in other regions. It is presumed that people of the Upper Paleolithic accumulated experiences through obsidian and created an intangible space where they could communicate information while sharing it.

목차

Ⅰ. 서론
Ⅱ. 네트워크의 출현과 확산
Ⅲ. 흑요석의 원산지와 네트워크
Ⅳ. 흑요석으로 본 광역네트워크 구조
Ⅴ. 광역네트워크의 유통구조와 네트워크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용준(Chang, Yongjoon). (2021).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호서고고학, 50 , 46-77

MLA

장용준(Chang, Yongjoon). "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호서고고학, 50.(2021): 46-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