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법률상 책임능력이 인정된 정신장애의 양형판단에 관한 소고

이용수 232

영문명
A study on sentencing of mental disorders that do not affect the responsibility
발행기관
대검찰청
저자명
정숙희(Jeong, Sukhee)
간행물 정보
『형사법의 신동향』제72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양형이란 법관이 언제나 부딪치는 문제다. 양형의 전 과정에서 형종의 선택, 법률상 임의적 감경, 작량감경, 구체적 형량결정, 집행유예 여부의 결정 등과 같이 법관의 양형판단이 필요한 결정을 하는 때에는 그때마다 양형인자들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법관의 양형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처단형의 범위 내에서 선고형을 결정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형법 제51조가 양형의 조건을 제시하고 있으나, 개별 사건에서 양형인자들에 대한 명백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물론 양형기준 시행 이후 양형인자의 질적 구분 및 평가기준을 통해 양형과정이 어느 정도 객관화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양형과정과 양형심리의 형식화에 대한 우려와 도식적인 양형기준의 한계는 존재한다. 이 글이 대상으로 삼고 있는 정신장애, 즉 법률상 완전책임능력이 인정되었지만 그 정신장애가 범행에 영향을 미친 사안이 그 우려와 한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정신장애가 의심되는 행위자에 대한 책임능력의 존(存) 내지 부(否) 사이에 책임능력의 양적차이가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말하자면, 심신미약상태를 야기하는 정신장애는 아니라고 해도 그것이 사물변별능력 및 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친 이상 어떻게 양형에서 고려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양형기준은 ‘심신미약(본인 책임 있음/없음)’이라는 양형인자는 있지만, 대상 정신장애와 관련된 양형인자는 없다. 이런 이유로 대상 정신장애 그 자체를 책임감소사유로서, 대상 정신장애와 이에 영향을 받은 범행 동기 및 행위 태양과의 상호 관계를 양형책임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양형기준을 통해 양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으로 정착되었지만, 양형기준의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처단형에서 선고형에 이르는 양형과정은 여전히 법관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 그런데 문제는 법정형에서 처단형을 결정하는 과정은 객관적인 과정이지만, 처단형에서 선고형을 결정하는 과정은 법관의 재량에 속한다는 점이다. 이때 법관의 주관적 판단은 무제약의 재량에 의한 것은 아니고 양형 및 책임이론의 한계 내에서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글은 대상 정신장애의 양형관련성을 소묘하고 책임과 예방의 관점에서 이론적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Sentencing is an issue that judges always face. The judge must consider sentencing factors whenever making a decision that requires sentencing in the entire sentencing process, such as the selection of punishment, arbitrary reduction in law, reduction in sentence, specific sentence decision, decision on whether to probate.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part of a judge’s sentence is the step to determine the sentence within the scope of the punishment. Article 51 of the Criminal Act provides the conditions for sentencing, but does not provide explicit guidelines on sentencing factors in individual cases.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sentencing process has been objectifi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qualitativ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of sentencing factor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tencing guidelines,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formalization of sentencing processes and sentencing hearing and limitations of schematic sentencing guidelines. Although the mental disorder that is the subject of this article has been recognized as fully responsible by law, it is located within these concerns and limitations in the case of the mental disorder affecting the crim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re is a quantitative difference in the capacity to be responsible between the existence and inexistence of responsibility for the person suspected of having a mental disorder. In other words, even if it is not a mental disorder that causes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it is a matter of how to consider it in sentencing as long as it affects the ability to discriminate objects and decision-making. The sentencing guidelines have a sentencing factor of “mental weakness”, but there is no sentencing factor for mental disorders that the study targets. Therefore, the target mental disorder has not been adequately evaluated in terms of sentencing responsibility. In this regard, the judge’s sentence should be applied effectively. At this point, the discretion of the judge should be limited within the limits of the sentencing and responsibility theory. This article tried to outline the sentencing relevance of the target mental disorder and to suggest theoretical direc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sponsibility and prevention, on the basis of such a critical mind and perspective as above mention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논의의 필요성 : 양형의 비정형성의 한계와 극복
1. 양형인자 평기기준의 부재
2. 도식적 양형기준의 한계
3. 양형요소로서 ‘대상 정신장애’에 대한
입체적 가치평가의 요구
Ⅲ. 법률상 책임능력이 인정된 정신장애가 양형에서
가지는 의미
1. 책임감소사유
2. 특별예방의 관점 : 처우와 양형
Ⅳ. 결 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숙희(Jeong, Sukhee). (2021).법률상 책임능력이 인정된 정신장애의 양형판단에 관한 소고. 형사법의 신동향, (72), 1-29

MLA

정숙희(Jeong, Sukhee). "법률상 책임능력이 인정된 정신장애의 양형판단에 관한 소고." 형사법의 신동향, .72(2021):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