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褒贬不一的张弼草书评析

이용수 17

영문명
Mixed comments on Zhang Bi s cursive script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琰(Liu, ya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9호, 225~2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명대 초기에는 화려하고 깔끔하며 매판한 “태각체” 서예가 널리 퍼져 있었고, 명대 서예 전체가 개성이 없는 일률적인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장필은 “태각체”의 서예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성정과 결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동시에 당시의 심학사상의 영향을 받아, 서예에 감정을 담는 옛것을 존중하는 창신적인 서예의 개념을 형성하였다. 그의 서예는 성화시기의 관면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한때 서예를 배우는 사람들 가운데 널리 이름 날리고 있었다. 장필초서는 장욱, 회소와 함께 명대 초기의 “삼송”으로 알리고 있다. 대폭 초서는 크게 맞물리고 기복이 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또 수려한 금초, 고풍스러운 장초가 있어, 광(狂)스럽기도 하고 고상하기도 한 특징이 돋보이고 있었다. 소폭의 초서는 세밀하고 정결하며 때로는 마치 부드러운 기러기 꼬리를 끼우는 것처럼 침착하고 무거운 기초에, 더 역동적인 특점을 보여준다. 명대 후기의 손광은 장필의 다양한 장점을 인정하지만, 장필의 서예는 저속한 점을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속체, 속피, 속의, 속된 것을 피할 수 없다.” 장필의 일부분 작품은 확실히 각박한 자형, 좌우가 얽히고, 힘의 부족하여 전필과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장필의 서예 작품이 자신의 성질과 결합하며, 법과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감히 자신의 성정을 표현하는 서예 개념을 구현하였다. 장필의 이런 돌파와 혁신하는 용기는, 명대의 서풍을 서정적인 방향으로 이끌며, 개성적인 서풍의 형성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그 후의 오문의 서파의 서풍, 명대 말기의 낭만적인 서풍의 형성에 일정한 영향이 있다.

영문 초록

The calligraphy that prevails in the early Ming Dynasty is called as the secretariat style or ‘Taige style’ which is flowery, neat and rigid. As a result, the calligraphy of the whole Ming Dynasty is monotonous without any characteristic. However, Zhang Bi is eager to break the fetters of tradition, proposing that writing calligraphy needs to in light of one’s character. What’s more, influenced by the then philosophy of Wang Yangming, he finally formed his own calligraphy theory that to write calligraphy with emotion and make innovations of the basis of traditions. Then his calligraphy is admired as the top during the Chenghua period(AD 1465-1487) followed by all learners at that time. Zhang Bi’s cursive is based from his learning of Zhangxu, Huaisu and Songke, Songsu and Songguang during the early of Ming Dynasty. Combined with vigorous ‘Jin cursive’ and simple ‘Zhang cursive’(the predecessor of ‘Jin cursive’), the large cursive scripts of him don’t stick to one pattern, unconstrained while no lack of lucidity. This two extremes enhance each other, showing a unique feature. However, small cursive scripts are of delicate strokes with elegant brushwork ‘Yanwei’, which is more vivid based on dignity. Sun Kuang of the later period of Ming Dynasty also recognizes that Zhang Bi’s cursive calligraphy is of various pros, while he also once said that Zhang Bi’s calligraphy is still vulgar in terms of form, brushwork, meaning and spirit. It’s indeed that a small part of Zhang Bi’s works have shortcomings, such as the deviation from the traditions, lack of force, and sometimes he writes while trembling to make elegance and of mixed sizes on purpose. However, this is how he infuses his disposition into calligraphy, breaking the bond of rules and regulations and having the courage to show temperament in calligraphy. Zhang Bi’s courage of making breakthrough and innovation leads the style of writing in Ming Dynasty to lyricism and promotes the formation of the writing style of Ming Dynasty. Moreover, it also has a certain influence on Wumen Calligraphy School and romantic calligraphy in the late Ming Dynasty. 明代早期盛行雍容华丽、整齐呆板的“台阁体”书法,整个明代书法呈现出千篇一律的风格,毫无个性所言。但张弼却不愿受“台阁体”书法的束缚,主张学书要与自己的性情相结合,同时又受当时心学思想的影响,形成了以情入书,尊古而创新书法理念,其书法被誉为成化年间之冠冕,一时学书之群宗。张弼草书主要师法张旭、怀素与明代初期的“三宋”,大幅草书具有大开大合、跌宕起伏的特征,而又杂以秀劲的今草、古朴的章草,显得狂益狂、秀益秀,两相衬托,独具一格。小幅草书,用笔精致,时而夹以灵动飘逸的雁尾,在沉稳厚重的基础上,更显灵动。晚明人孙鑛也承认张弼草书的种种优点,但却又认为张弼未能去俗:“俗体、俗笔、俗意、俗气,都不免犯之。”张弼的一小部分作品确实存在字形不古、左右缠绕、缺乏骨力、故作颤笔、故作大小不齐的缺点。但这就是张弼将自我性情融入到书法作品中,不受法度和规矩的束缚,敢于表现性情书法理念的体现。张弼这种勇于突破和创新,将明代书风引向抒情性方向发展,对个性书风的形成,有很大的推动作用。并对以后吴门书派书风、明代晚期浪漫主义书风的形成都有一定的影响。

목차

Ⅰ. 序论
Ⅱ. 提倡个性书风的书学理念
Ⅲ. 跌宕起伏的大草
Ⅳ. 融古创新的大草
Ⅴ. 纤弱杂乱的“俗草”
Ⅵ. 结论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刘,琰(Liu, yan). (2021).褒贬不一的张弼草书评析. 서예학연구, (39), 225-249

MLA

刘,琰(Liu, yan). "褒贬不一的张弼草书评析." 서예학연구, .39(2021): 225-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