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의 교양교과로서 ‘문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이용수 191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Literatur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urriculum of Universiti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안미영(Ahn, Mi You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5권 제4호, 55~6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대학의 교양교과로서 문학 교육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대학의 교육과정과 제도 변화에상응하여 교양 ‘문학’ 교과의 현황을 살펴보고 기초학문으로서 문학 교과의 교육 방법을 탐구한 것이다. 유관 교과와 관련하여 문학 작품은 글쓰기 교육에서 일찍부터 유용한 강의자료로 활용되었고, 고전교과에서는 검증된 문학작품을 활용하여 교과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문화 교육에서도 문학작품은 미디어 교육의 1차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대학 제도의 측면에서 문학 전공 학과들이 사장되기 시작했으며, 문학 교육은 교양에서 담당해야하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에 문학의 정체성을 되묻고 교육방법에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기초학문으로서 문학 교육방법을 논하기 앞서, 교양교육으로서 문학 교육에 관한 선행논의들을 살펴보았다. 교양으로서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은 1980년대 중반부터 일기 시작하여 2010년을 전후하여연구가 활발해졌다. 교양교육으로서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일련의 사실은 기초학문으로 문학 교과에 대한 당위성과 현실 변화에 대한 소통 의지를 시사한다. 대학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정체성과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전단계인 중등교육과정과 대학교육 간의연계성을 점검해 보았다. 현행 중등교육과정은 2015년 개정되었으며, 중등교육과 고등(대학)교육 모두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배양을 위한 역량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향하는 궁극의 목표는 동일하다. 다만 중등교육과정에서 문학은 교과서를 통해 지정된 성취기준에 도달해야 하므로, 문학을 내면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학에서 문학 교육은 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 등을 고려하되, 다양한 교수법을통해 문학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향유할 수 있는 체험을 극대화하여 문학능력을 기를 수 있다. 대학 교양교육에서 문학 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학술적 보편성과 성과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는 미디어의 서사를 읽어내고, 시대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해석안을 배양해야한다. 문학의 언어를 이해하고, 미메시스(재현), 서사와 플롯, 시점과 화자, 비평방법론, 문예사조를통해 인류의 역사와 문명의 흐름을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교육시킬 수 있어야 한다. 작품에 대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활동을 통해 작품에 구현된 문학 원리를 파악하고, 작품이던진 화두가 자신과 동시대 삶에 어떠한 담론을 만들어 나가는지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eeks ways in which to educate literature as par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universiti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niversity s curriculum and system, this articl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liberal arts “literature” courses, Also, this article explored the methods used in the teaching of literature courses as basic studies. Literary works have been used as useful teaching materials in early writing education, and classical texts have achieved their goals by utilizing proven literary works. In cultural education, literary works are also used as a primary source and as part of media education. In terms of the university system, the Humanities departments have begun to disappear. Literary education has resulted in a situation in which liberal arts have to take charge, and so now it is necessary to ask questions regarding the identity of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methods of teaching literature education. Before this article discussed the methods involved with literature education as a basic study, we looked at the prior discussions on literature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began in the mid-1980s, and research became active around 2010. Interest in and research on literature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has also been gradually increasing, and a series of facts suggest the legitimacy of literature subjects as basic studies, along with a willingnes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methods of teaching literatur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is article examined the link between secondary and university education. The current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and both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for talent development required by the times, and the ultimate goal is the same. However, since literature must reach the achievement standards designated through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re is a limit to internalize the literature. Literatur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all take into account the university s talent award and educational goals, but may develop literary skills by maximizing the experience of actively interpreting and enjoying literature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literature courses should be able to capture academic universality and achievements as basic studies. Literature courses should be teach to read the narratives of media that form diverse cultures and cultivate interpretations that can allow our students to discover the value of the times in which they live. The particular language of literature should be understood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and enjoying the flow of human history and civilization should be taught through Mimesis (reenactment), narrative and plot, point of view and the speaker,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literature itself. Through a self-reliant and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work, one should be able to identify the literary principles embodied in the work, and tell what discourse the work has created in the lives of one s contemporaries.

목차

1. 서론
2. 교양 ‘문학’에 대한 성찰과 기대
3. 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문학교육 연계성
4. 기초학문으로서 문학 교육 제고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미영(Ahn, Mi Young). (2021).대학의 교양교과로서 ‘문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교양교육연구, 15 (4), 55-69

MLA

안미영(Ahn, Mi Young). "대학의 교양교과로서 ‘문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교양교육연구, 15.4(2021): 55-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