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독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제언

이용수 4

영문명
Suggestion for Educ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김명자(Kim Myung Ja) 김난예(Kim nan-ye)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52집, 257~29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요 선진국들과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을 이원적 체제로 운영해왔으나 사회구조와 생활방식 변화, 출산율 감소와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평생학습, 아동의 교육 및 보육을 받을 권리 등으로 유아교육과 보육 체제의 협력과 통합을 추구하며 교사 자격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유아교사 교육의 역사를 살펴보고 기존유아교육관의 교육학적 타당성을 검토하며, 미국과 우리나라의 유아교사 교육 실태 및 현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기독교학교의 바람직한 유아교사 교육관을 정립하고, 유아교사 양성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자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제를 결합하고 삶의 현장에서 이론이 실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자신의 자기양성을 통한 자기이해 위에 질 높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구축되어야 하며, 이론과 삶을 연결하는 예비교사교육의 제도로서 사전실습과 교생실습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이론과 삶을 연결하는 예비 유아교사의 자질은 다양한 방면에서 대안적 실습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획일적이지 않으며 다양하고 융통성 있게 개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교사-연구자가 되도록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또 기독예비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교사들의 예비교사인 학생에 대한 인식 전환이다.

영문 초록

Major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traditionally ope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dualistic system, but now the reinforcement of a teacher’s qualification in pursuit of cooperation an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hild care system is becoming important. This is due to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lifestyle, a decrease in birth rate, an increase of women’s economic activity, lifelong education,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etc. What is needed for this? With an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looks into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es the validity of existing viewpoints of childhood education, establishes a desirable viewpoi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by comparative analysis of statu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aims to present the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training syste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fi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e combining of theories and practice is needed so that these theories can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high-q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to self-understanding through self-training of pre-service teachers. Furthermore, the system of pre-internship and student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that utilizes the connection of theories and life, should be reinforced.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connect theories and life can be taught through alternative practical education in various dimensions; this is not standardized but can be achieved through diverse and flexible strategies. In order to do this, motiv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o become teacher-researchers through pre-education is needed, as well as a change of awareness about students in the course of training education for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유아교사 교육의 흐름
III. 외국과 우리나라의 유아교사 교육
IV. 바람직한 기독유아교사 교육 방안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자(Kim Myung Ja),김난예(Kim nan-ye). (2017).기독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제언. 기독교교육 논총, 52 , 257-292

MLA

김명자(Kim Myung Ja),김난예(Kim nan-ye). "기독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제언." 기독교교육 논총, 52.(2017): 257-2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