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회교육의 장으로서의 공간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이용수 4

영문명
An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Space as the Locus of Church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은경(Eun Kyoung Lee)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38집, 281~30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회는 본래 예배, 교육, 선교, 친교의 공간이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예배와 예배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하다 보니 교육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소홀히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의 문제는 교육학, 특히 교육학적 인간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이다. 레지오 교육학의 창시자인 로리스 말라구찌는 “다른 아이가 첫 번째 교사이고, 선생은 두 번째 그리고 공간이 세 번째 교사이다.”라고 말하면서 공간이 가진 교육적 가치를 상당히 높이 평가했다. 아이들은 공간 안에서 저마다 독특한 인상이나 느낌을 받는다. 어떤 아이는 구석지고 좁은 장소를 찾아다니는가 하면, 어떤 아이는 아무도, 특히 어른들은 결코 발견하지 못할 만한 작은 틈새를 발견하기도 한다. 그리고 때로는 두려워하면서도 알지 못하는 미지의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그러한 세계를 꿈꾸기도 한다. 인간에게, 특히 어린이에게 공간은 삶이 일어나는 곳, 그리고 상상력, 더 나아가 종교성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아이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삶의 공간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그곳에서부터 생겨나는 아이들의 꿈과 환상을 억제하지 말아야 한다. 유치원의 창시자인 프리드리히 프뢰벨은 아이들의 이러한 모습을 “공간을 정복하려는 자연적 욕구의 발로”라고 표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교육학적인 공간의 문제는 아이들이 공간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해 무엇을 발견하고, 그것이 아이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느냐의 문제까지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교육학적 인간학의 차원에서 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를 살펴보고, 마르티누스 랑에벨트의 숨겨진 공간 혹은 비밀 공간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어린이들이 공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그들의 삶에는 어떠한 공간들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그 공간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함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교회교육의 장으로서의 공간 구성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영문 초록

Church is a space for worship, education, mission and koinonia. However, many Korean churches have used to understand the space mainly or only as that for worship and liturgical practices, and thus there has been not enough room to understand the space as for education. The church has lost sight of the other roles of the space. The issue of space i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pedagogy, especially in educational anthropology. Loris Malaguzzi, who is the progenitor of Reggio-Emilia approach, highly appreciated the educational value of space, saying, “for a child, other children are the first teacher, the school teacher is the second, and the space is the third.” Children have their own unique impression or feeling of their spaces. A child may try to find a narrow and lsolated place at a corner, while the other child may find a so small crack that any adult can never find. They may try to enter an unknown place with anxiety and fear or they may dream such a world. For human beings, especially for children, space is a place where life arises and where imagination and further religiosity begin. Therefore, children should be able to choose their space for actual life, and the dream and fantasy of children which are generated there should not be suppressed. Friedrich Fröbel, who was the modern founder of kindergarten, described this as “the manifestation of the natural drive to conquer a space.” In this vein, the pedagogical issue of space includes the matters of how children experience their spaces, what they find through their experience of it, and how their discoveries and experiences impact upon their future lives. This article first seek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nthropology. Then, along with Martinus Langeveld’s understanding of a hidden space or a secret place, it tries to elucidate how children understand the space and what kinds of spaces appear in their lives, and it further attempts to expl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uch spaces. This article adds as conclusive remarks some suggestions about the disposition of space as the locus of church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공간에 대한 교육적 이해
Ⅲ. 어린이의 공간 이해
Ⅳ. 교회교육을 위한 공간 이해 - 상상과 종교성 체험의 공간
Ⅴ. 교회교육적 공간구성을 위한 제언
Ⅵ.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Eun Kyoung Lee). (2014).교회교육의 장으로서의 공간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기독교교육 논총, 38 , 281-305

MLA

이은경(Eun Kyoung Lee). "교회교육의 장으로서의 공간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기독교교육 논총, 38.(2014): 281-3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