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주 회암사지 출토 龍文ㆍ鳳凰紋 막새의 계통과 전개

이용수 254

영문명
A Study on the Genealogy and Development of Roof-end Tiles with Dragon and Phoenix Patterns Excavated at the Site of Hoeam Temple in Yangju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신은희(Shin Eunhee)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0號, 287~32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양주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용문ㆍ봉황문 막새를 대상으로 제작 시기와 특징을 파악하여 그 계통과 전개양상을 정리해보았다. 유적의 중심 시기인 고려후기~조선전기는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기이자 대외적으로는 元에서 明으로의 교체기이다. 그런 의미에서 회암사지는 전환기의 양상과 元과 明의 영향, 중앙과 지방의 양상을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며 그것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왕실 문양인 용문과 봉황문이라고 생각된다. 회암사지에서는 봉황문 수막새 3종, 용문 수막새 2종, 용문 암막새 9종이 확인되었고 시간성을 반영하는 속성인 드림새 뒷면 흔적(갈퀴흔→布痕), 주연 형태와 침선 유무(평면ㆍ針線→돌출ㆍ凹線→돌출ㆍ無線)를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제작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중창기록과 타 유적 출토품과의 비교를 통해 제작시기는 1기(~14세기 말), 2기(15세기 초~15세기 말), 3기(16세기 중반)로 설정하였다. 1기는 태조 연간에 해당하는 시기로 원의 영향을 받은 고려시대 후기(제주 법화사지, 개성 고려궁성)의 제작적 특징이 조선 초(경복궁, 양주 회암사지)까지 이어진다. 용문과 봉황문은 왕권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사용처에 제약이 있었고 元順帝가 제주도에 離宮을 짓기 위해 장인을 파견한 기록, 그 장인이 고려궁성 중건에 참여하는 기록, 조선 건국 이후 한양도성 건설에 고려시대부터 건축술을 가지고 있던 공역승들이 투입된 문헌기록으로 보아 용문ㆍ봉황문 막새 등 왕실기와의 제작 시스템이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기는 세종~성종대로 회암사에 20~30년 간격으로 크고 작은 불사가 빈번했던 시기이다. 다양한 종류의 용문ㆍ봉황문 막새와 磨硏痕, 明의 영향으로 보이는 봉황문 수막새 등으로 보아 회암사의 높은 위계와 대외적 교류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이다. 한편, 막새의 제작기법에 있어서 경복궁을 비롯한 도성 소재 왕실 관련 유적과 다른 지역적 양상이 확인된다. 3기는 명종대로 회암사에서는 여전히 왕실과의 관계 속에서 문정왕후에 의한 불사가 이루어지지만 막새의 문양과 종류가 단순화되어 대대적인 중창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왕실과의 관계가 약화되면서 왕실 사찰로서의 성격을 보여주는 용문ㆍ봉황문 막새는 더 이상 제작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roof-end tiles with dragon and phoenix patterns excavated at the site of Hoeam Temple in Yangju in terms of time of manufacture and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ir genealogy and development of patterns. The relics are mainly between the latter part of Goryeo and the former part of Joseon, which witnessed a transition from Goryeo to Jose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nother transition from Yuan to Ming in China. In this sense, the site of Hoeam Temple is an important place to locate the patterns of the transition period, the influences of Yuan and Ming, and the patterns of central and local districts. Dragon and phoenix patterns as royal patterns are considered to clearly reflect such phenomena. Excavated at the site were three types of round roof-end tiles with a phoenix pattern, two types of round roof-end tiles with a dragon pattern, and nine types of flat roof-end tiles with a dragon pattern. These types are categorized into several patterns and manufacturing periods, according to their attributes such as trimming traces on the back(rake trace → cloth trace), forms of circumference section and dividing lines(plane → projection → no line). Being analyzed together with the temple s rebuilding records and relics excavated at other places,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roof-end tiles could be divided into Period 1(~the end of the 14th century), Period 2(early 15th century~end of the 15th century), and Period 3 (middle 16th century). Period 1 fell to the reign of King Taejo.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latter part of Goryeo which was under the influence of Yuan(site of Beophwa Temple in Jeju and the palace of Goryeo in Gaeseong) continued to the former part of Joseon(Gyeongbok Palace and the site of Hoeam Temple in Yangju). There were limits to the use of dragon and phoenix patterns that represented the royal power. It was confirmed that the manufacture system of royal roof tiles including roof-end tiles with dragon and phoenix patterns was inherited from the latter part of Goryeo to the former part of Joseon, based on records about the dispatch of roof tile artisans by Emperor Shun of Yuan to build a royal villa on Jeju Island, the participation of the artisans in rebuilding the royal palace of Goryeo, and commitment of public service monks of Goryeo with the architecture skill to the construction of Hanyang capital city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Period 2 encompassed the reign of King Sejong~King Seongjong, when there were frequent big and small rebuilding projects for the Hoeam Temple every 20~30 years. It is confirmed that during this period, the Hoeam Temple enjoyed high hierarchy and international exchanges, which are demonstrated by the various types of roof-end tiles with dragon and phoenix patterns, traces of polishing for surface treatment, and flat roof-end tiles with phoenix patterns under the influence of Ming. The manufacture technique of roof-end tiles at the temple showed local patterns different from royal relics in the capital city including Gyeongbok Palace. Period 3 fell to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e temple continued to receive Buddhist service commissioned by Queen Munjeong. While keeping its relations with the royal family, the patterns and types of its roof-end tiles became simple which implies there were no large-scale rebuilding projects. As its relations with the royal family weakened, roof-end tiles with dragon and phoenix patterns, representing as a royal Buddhist temple, were no more made.

목차

Ⅰ. 머리말
Ⅱ. 회암사지 용문ㆍ봉황문 막새의 분류
Ⅲ. 회암사지 용문ㆍ봉황문 막새의 제작 시기
Ⅳ. 회암사지 용문ㆍ봉황문 막새의 계통과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은희(Shin Eunhee). (2021).양주 회암사지 출토 龍文ㆍ鳳凰紋 막새의 계통과 전개. 백산학보, (120), 287-327

MLA

신은희(Shin Eunhee). "양주 회암사지 출토 龍文ㆍ鳳凰紋 막새의 계통과 전개." 백산학보, .120(2021): 287-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