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장 활동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이용수 210

영문명
A Study on the University Writing Class Model Using Field Activities: Focusing on the subjects of “Life and Writing” at Gwangju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차노휘(Cha Nohui) 박일우(Park Illwoo)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2호, 41~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 글쓰기 교과목은 쓰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technicalwriting’과 ‘humanitywriting’으로 양분하여 운영한다.이에 따른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은 수치화되고 각 대학의 기초교양교육의 성과로 편입되기도 한다. 사실 그 검증 방식도 문제이지만 문법 체계를 기준으로 학생들의 글에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하는 것도 융복합 교육을 지향하는 대학 교양교육의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는것이다.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매체를 분화시키고 확장하여,글쓰기를 통한 다양한의사소통의 현장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장 활동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은 이러한 모순의 대안이 될 수 있다.대학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비판적 사고 및 성찰 역량 확대,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두었을 때, ‘technicalwriting’과 ‘humanitywriting’ 수업을 통합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다른 한편으로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상황을 밀도 있게 검토하면서 자기를 성찰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낸다.이는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고 사회적 비판력 제고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조사의 ‘현장’이 학습자가 속한 사회적 장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현장 활동은 학습자의 존재 기반을 가로지르는 다양한사회 문화적 맥락에 대한 탐색이자 사회적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광주대학교 교양 글쓰기 교과목인<생활과 글쓰기>를 바탕으로 이러한융·복합적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나아가 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지향점을 타진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그렇다고 글쓰기 영역의 새로운 융·복합적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다.강좌 운영의 차원에서의 현장활동,인터뷰 실습을 통한 글쓰기와 활동적 차원에서의 읽기·말하기·듣기를 아우를수 있는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장 활동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형은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또한 글쓰기라는 형식을 넘어 제안서,기획서 등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적극적인 자기 표현으로 확장될 수 있다.이것은 대학 글쓰기 교육이 전공 교육을 지원하는 기초학습으로의 과정을 넘어 인문학적 교양 교육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영문 초록

In Korean most university writing courses are divided into “technical writing” and “humanity writing” focusing on improving writing skills. Consequently students’ writing ability is quantified and transferred to the achievement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at each university. In fact, although the verification method also constitutes an issue, conducting the evaluation by assigning points to students’ writings based on grammatical compliance surpasses the original purpose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iming for convergence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differentiates and expands the medium, creating various communication fields through writing ability. Writing education using “field activities” can constitute an alternative to this contradiction. It has the advantage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of “technical writing” and “humanity writing” classes in an integrated manner when it focuses on expanding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capabilities and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ies required by university curricula. Conversely, it creates room for self-reflection by closely examining the situation in the area in which the university is located. This helps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and effectively achieve social criticism. As the “field” of the survey consists of the social field of the learner, the field activity is bound to consist in an exploration of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that cross the foundation of the learner s existence and reflection on oneself as a social subje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plan for achieving the goal of this convergent writing education based on “Life and Writing” a liberal arts writing course at Gwangju University, and further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writing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we are developing a new convergence curriculum in the writing field. This study seeks a teaching method for writing skills that can encompass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in an active level as well as on-site activities at the level of course operation, writing through interview practice. The writing class model using field activities suggested in this study enables critical reflection o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dditionally, it can be extended to the active self-expression of creative ideas such as written proposals and proposals beyond the form of writing. This allows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adopt a new position as humanities liberal arts education beyond the course of basic learning that supports major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현장 활동을 통한 글쓰기 교육의 특징
3. 교과목 설계 및 학습자 활동방안
4. 수업 모형 구축 및 시범 적용 사례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노휘(Cha Nohui),박일우(Park Illwoo). (2021).현장 활동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리터러시 연구, 12 (2), 41-71

MLA

차노휘(Cha Nohui),박일우(Park Illwoo). "현장 활동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리터러시 연구, 12.2(2021): 4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