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등학교 독도교육주간 운영에 관한 연구

이용수 49

영문명
A Study on the Operation of Dokdo Education Wee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김미선(Kim, Mi Sun) 이범관(Lee, Beom Gwan)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7권 제1호, 39~5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초・중등학교의 독도교육주간으로 한정하고, 시간적 범위는 2019년과 2020년으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로 한정하였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에 따른 독도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독도 전문교사가 부족하고 둘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교사의 부족은 학년별・학교 급별 연계교육을 어렵게 함으로써 체계적인 독도교육이 실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독도교육이 행사 중심의 일회성 교육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문제점을 토대로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체계화된 전문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구축된 독도교육전문시스템을 통해 전문성 있는 교사를 양성해야 하며 셋째, 양성된 전문교사를 통해 독도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Dokdo Education Week among Dokdo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okdo education by deriving problems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subjects, objects, contents and methods of Dokdo Education Wee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he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Gyeongsangbukdo with the time range being 2019 and 2020., As for methods for searching, literature search methodology and Internet search methodology are used in combination, and as for the method of analysis, the method of descriptive analysis is employ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Dokdo educ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us of Dokdo Education Week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professional system for Dokdo education, so there was a shortage of Dokdo teachers. Second, the lack of professional teachers for Dokdo education made it difficult to educate Dokdo by grade and school grade, and third, Dokdo education was conducted as one-time education centered on event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first, the systematic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specializ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should be trained through the established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and third, the Dokdo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train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목차

1. 서론
2. 독도교육의 이론적 고찰
3. 독도교육의 실태 분석
4. 독도교육 발전방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선(Kim, Mi Sun),이범관(Lee, Beom Gwan). (2021).초・중등학교 독도교육주간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7 (1), 39-51

MLA

김미선(Kim, Mi Sun),이범관(Lee, Beom Gwan). "초・중등학교 독도교육주간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7.1(2021): 39-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