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세석기제작 작업공정과 돌감이용 양상

이용수 26

영문명
Microlithic Technology and Raw Materials Use in Korea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大谷薰(Otani, Kaoru)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26집, 4~37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에서의 세석기문화 연구는 구석기의 발견과 함께 시작되었고, 이후 약 50년 동안 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 그 동안 자료의 증가에 따라 각 유적에서 확인된 세석기제작 양상을 일관된 공정으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동생활이 활발했던 세석기문화의 시기에는 여러 유적을 통해 일련의 작업 공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한반도에서 세석기문화가 확인된 유적을 대상으로 세석기제작·사용·폐기에 이르는 일련의 작업공정을 분석·검토하였다. 먼저 유적의 분포와 출토양상을 정리한 후, 석기구성과 돌감구성을 기준으로 유적의 유형분류를 시도하여 유적 전체의 성격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세석핵과 세석인 제작에 사용된 돌감구성에 주목하여 9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세석기문화의 유적에서 이루어진 작업공정은 크게 3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에는 다양한 작업공정의 단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석기제작·사용·폐기를 통해 관찰되는 일련의 작업공정은 모든 과정이 반드시 한 곳에서 순서적으로 진행된 것이라기 보다는, 여러 유적을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Microlithic study began with discovery of Palaeolithic culture in Korea. Thereafter a lot of researchers have attempted various study for about 50 years. Until now, it became possible to be confirmed at each sites as data increased, and to restore an aspect to consistent process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a series of operation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a lot of sites of the microlithic culture.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a series of operation process -making, using, discarding- in Korean microlithic culture. It has so variable characteristic in each sites. The research of microlithic industry has advanced mainly put the viewpoint in variety of the form of micro-cores, technology of micro-blades flaking, chronology by the form of micro-cores, process of development and origin of the microlithic culture. And I try to compare the assemblage of stone tools and raw materials of micro-cores and micro blades for each sites. Because microlithic culture is the most common lithic industry strategies employed in the transportation, personal tools of mobile foragers. In this paper, the microlithic sites are classified to group for 9 types of sites pattern for utilization of stone tools and raw materials assemblage. Finally,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operation process through the assemblage of the raw materials, microrores and microblades in each microlithic sites, and to discuss the human behavioral pattern of Late Palaeolithic people in the microlithic industry around hunting and gathering band. Such mobile tools are those items that are continuously carried by individuals, as opposed to gear that is made expediently, or tools, that may be transported but there are cached at fixed locations. As all processes were certainly progressed at one sites, a series of work process was progressed by stages by a lot of remains.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반도 세석기문화 유적의 분류
Ⅲ. 세석기문화 유적의 유형별 양상
Ⅳ. 유적 유형별 세석기제작 작업공정 복원
Ⅴ. 세석기제작 작업공정과 유적 간의 관계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大谷薰(Otani, Kaoru). (2012).한반도 세석기제작 작업공정과 돌감이용 양상. 호서고고학, 26 , 4-37

MLA

大谷薰(Otani, Kaoru). "한반도 세석기제작 작업공정과 돌감이용 양상." 호서고고학, 26.(2012): 4-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