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靑銅器文明 周邊集團의 墓制와 君長社會

이용수 12

영문명
Burial Practices and Chiefdom Societies of Bronze Age Peripheral Groups: Dolmen and Societies of the Liaodong and Jilin Areas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吳江原(Oh, Kang-Won)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26집, 110~151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요동 남부와 길림 동남부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 동북 지역의 지석묘 유적군은 지석묘의 군집성·밀집도·지형지리적인 조건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요동 남부 지역에서는 浮渡河流域圈, 碧流河流域圈, 庄河-英那河流域圈, 大洋河流域圈, 哨子河流域圈, 海城河流域圈이, 요동 북부 지역에서는 蘇子河下流域圈, 길림에서는 一統河流域圈과 三統河上流流域圈이 추려진다. 이외 다른 유적들은 해당 지역에서 중심적인 묘제를 이루고 있지 못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토착적인 유적들에 둘러싸인 채 개별적인 유적점들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지역권을 이루고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요동 남부를 기준으로 할 때 지석묘 유적은 조합 유물의 차이에 따라 銅銅期期(기원전 10~9세기), 雙房期(기원전 8~7세기), 家家窩堡期(기원전 7~6세기), 白家堡子期(기원전 6~5세기)로 나누어진다. 여러 점을 고려할 때, 요동과 길림 지역의 지석묘는 碧流河流域圈에서 지석묘제가 발생된 후 銅銅銅期와 雙房期에 요동 남부의 여러 지역권들이 새로이 분화되었고, 白家堡子期에 鄭家窪子類型으로 인해 요동 남부 지역의 지석묘제가 점차 위축·소멸되는 과정에 길림 동남부에 새로운 지석묘제 거점인 一統河流域圈이 형성되었으며, 이어 기타 다른 소지역권과 유적점들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요동과 길림 지역의 지석묘 사회는 세부적으로 지역권과 유적점을 막론하고 부족사회 단계에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雙房期집중적으로 조영된 요동 남부 지역의 기념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초대형·대형 탁자식 지석묘를 제외한 나머지 지석묘가 입지·군집성·배치 상태·부장품 등에서 군장사회의 면모를 전혀 보여주고 있지못하다는 것에서 드러난다. 사회학적으로는 농경을 영위하는 촌락공동체사회의 면모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요동과 길림 지역의 지석묘집단은 鄭家窪子類型과 같은 군장사회의 주변에 머물러 있던 부족사회였다고 정의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account of the multitude, density and geographical configuration of the dolmen of the dolmen relic groups of the Chinese Northeast centering on Southern Liaodong and Southeastern Jilin province, in the Southern Liaodong area the Fudu river sphere, the Biliu river sphere, the Zhuanghe-Yingna river sphere, the Dayang river sphere, Shaozi river sphere and the Haicheng river sphere can be singled out, in the Northern Liaodong area, the lower Suzi river sphere can be singled out, in the Jilin area, the Yitong river sphere and the upper Santong river sphere can be singled out. Sites besides these not only do not occupy the central burial practices of the corresponding areas, but are instead surrounded by indigenous sites, forming an individual relic spot, and do not form an independent sphere on it s own. With Southern Liaodong as a standard, dolmen site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artifact assemblages, can be divided into: the Huatongkuang phase(B.C. 10th-9th century), the Shuangfang phase(B.C. 8th-7th century), the Huojiabubao phase(B.C. 7th-6th century) and the Bajiabuzi phase(B.C. 6th-5th century). On account of many points, the dolmen of the Liaodong and Jilin areas, the burial practice of the dolmen originated in the Biliu river sphere, afterwards during the Huatongkuang and the Shuangfang phases this diverged into the many different spheres of Southern Liaodong, during the Baijiabuzi phase due to the emergence of the Zhengjiawazi culture, while the dolmen of the Southern Liaodong area gradually began to wither and disappear, in Southeastern Jilin a new dolmen center, the Yitong river sphere emerged and in succession other smaller spheres and relic spots were formed. The dolmen societies of the Liaodong and Jilin areas, regardless of differences of spheres and relic spots, remained in the tribal society phase.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with the exception of the monumental, mammoth-sized and large-sized table-style dolmen mass constructed during the Shuangfang phase in the Southern Liaodong area, the remainder of the dolmen, in terms of geographical setting, multitude, distribution and burial goods, show no signs of chiefdom level society. Sociologically, these show signs of village communities subsisting on agriculture. Therefore, the dolmen societies of the Liaodong and Jilin areas can be defined as tribal societies located on the fringes of a chiefdom society such as the Zhengjiawazi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동북 지역 지석묘 유적의 공간 분포와 지역권
Ⅲ. 중국 동북 지역 지석묘 유적 각 지역권의 시간성과 상호 관계
Ⅳ.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 유적 각 지역권의 사회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吳江原(Oh, Kang-Won). (2012).靑銅器文明 周邊集團의 墓制와 君長社會. 호서고고학, 26 , 110-151

MLA

吳江原(Oh, Kang-Won). "靑銅器文明 周邊集團의 墓制와 君長社會." 호서고고학, 26.(2012): 110-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