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半島鑄造鐵斧의 展開樣相에 대한 考察

이용수 105

영문명
A study on developmental aspect of cast iron axe in the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金想民(Kim, Sang-Min)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20집, 56~85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에서의 한반도 철기문화의 성립과 발전을 검토하기 위하여 철기문화의 유입과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주조철부의 유입과 전개과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반도 내 주조철부의 현황을 파악하고 속성분류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속성간의 조합을 통해 총 12개의 세부 형식을 설정한 후 각 형식의 시간적 위치와 변화상을 확인하였다.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주조철부는 단면형태에 따라 크게 3형식으로 구분되며, 세부적인 변화가 이루어진다. 주조철부의 유입과 전개는 지역에 따라 시기적인 차이는 확인되지만, 기원전후가 되면 한반도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주조철부의 제작과 유통이 이루어진다. 그 주요논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철기문화의 유입기로 볼 수 있는 기원전 3세기대의 주조철부는 한반도 서부지방을 중심으로 출토된다. 그러나 서북부와 서남부지역은 주조철부의 형태와 출토양상에서 명확한 차이가 확인된다. 이는 연나라의 철기문화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지역차로서 판단된다. 한편 한반도 동남부지역의 철기문화는 위원 용연동에서 가평 대성리, 대구 팔달동유적으로 이어지는 주조철부의 특징을 통해 서북부지역에 의한 철기문화의 유입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낙랑의 설치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서남부지역 철기문화의 희소성과 상반되고 있다. 따라서 낙랑의 등장은 한반도 초기철기문화의 전개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조철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낙랑토성과 동남부지역의 유사성을 통해 일정한 교류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반면 원삼국시대의 서남부지역은 낙랑의 멸망과 함께 낙랑의 철기문화의 유입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백제가 등장하는 시점에 주조철부를 포함한 철기의 증가가 두드러진다. 이와같이 초기철기문화의 유입과 전개에 있어서의 지역적인 차이는 3세기이후 한반도 남부지방의 서부와 동부지역의 철기문화의 차이로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al phase of the cast iron axe that has plac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flow of early iron culture for understanding of the iron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Here we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cast iron axe 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attribute classification A total of 12 type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combination between attributes and divided into 6 periods according to the temporal location of each type, finally summarized its changing aspects. The cast iron axe of Korean Peninsula is developed into 3 types in accordance with a section and form. Also, the flow and development of iron culture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case iron axe were made in earnest by only a mold, centering around the south ea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around O BC. Around 3 century B.C. which can be considered the inflow time of iron culture, it is being excavated centering around the western district of Korean Peninsula, but in case of cast iron axes, there appears differences in the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area. This is caused b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t is estimated that self-production existed according to recognition of ironware. In the meantime, it is considered that iron culture of the southea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was influenced more directly by the northwestern area through characteristics of cast iron axe ranging from Yongwon Wiyeon-dong and Gapyeong Daeseong-ni. This is handed down even after Nangnana s installation, showing scarcity of iron culture including cast iron axe in the southwestern area and the opposite development of the southeastern area. The similarity between cast iron axe excavated in Nangnang a mud castle and that of the southeastern area shows that there has been continuous relation after Nangnang was established. In the meantime, in case of the southwestern area, it is deemed that the iron culture was introduced together with a downfall of Nangnang, and it is remarkable that the ironware increased at the time when Baek-je appeared. This implies that after 3 century,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excavation phases of the west and east part6 of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al phase of the cast iron axe that has plac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flow of early iron culture for understanding of the iron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Here we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cast iron axe 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attribute classification A total of 12 type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combination between attributes and divided into 6 periods according to the temporal location of each type, finally summarized its changing aspects. The cast iron axe of Korean Peninsula is developed into 3 types in accordance with a section and form. Also, the flow and development of iron culture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case iron axe were made in earnest by only a mold, centering around the south ea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around O BC. Around 3 century B.C. which can be considered the inflow time of iron culture, it is being excavated centering around the western district of Korean Peninsula, but in case of cast iron axes, there appears differences in the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area. This is caused b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t is estimated that self-production existed according to recognition of ironware. In the meantime, it is considered that iron culture of the southea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was influenced more directly by the northwestern area through characteristics of cast iron axe ranging from Yongwon Wiyeon-dong and Gapyeong Daeseong-ni. This is handed down even after Nangnana s install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주조철부의 출토현황과 형식
Ⅲ. 한반도 주조철부의 변화상
Ⅳ. 한반도 주조철부의 전개양상에 대한 고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想民(Kim, Sang-Min). (2009).韓半島鑄造鐵斧의 展開樣相에 대한 考察. 호서고고학, 20 , 56-85

MLA

金想民(Kim, Sang-Min). "韓半島鑄造鐵斧의 展開樣相에 대한 考察." 호서고고학, 20.(2009): 56-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