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淸州 鳳鳴洞遺蹟 出土 馬具의 製作技術 檢討

이용수 45

영문명
A Study on the Techniques Relevant to Manufacturing Harness from Bongmyeong-dong Site, Cheongju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成正鏞(Seong, Jeong-Yong) 權度希(Kwon, Do-Hee) 諫早直人(Isahaya, Naoto)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20집, 106~132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주 봉명동유적에서는 재갈 13점과 함께 2점의 등자가 출토되었다. 본고는 이 유적에서 출토된 마구에 대한 정확한 실측도를 제시하고, 그 제작기술에 대한 검토를 통해 봉명동마구가 갖고 있는 특징과 의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재갈은 재갈쇠멈추개가 불확실한 1점(C-20호)을 제외한 12점 모두 표비로 확인되었는데, 철제 S자형 표 1점(A-31호)을 제외한 나머지는 木材등의 유기물제 표를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함은 제작기법 확인이 가능한 12개체 가운데 10개체가 철봉을 S자상으로 구부려 꼬아 만드는 소위 3줄꼬기 기법으로 되어 있고, 1점은 2줄꼬기 기법으로 되어 있으며, 나머지 1점(C-31호)만 꼬지 않고 철봉을 S자상으로 구부려 단접하는 기법으로 되어 있다. 인수는 8개체에서만 확인되고 있는데, 이 중 5개체는 3줄꼬기 기법으로 되어 있는데 비해 2개체는 한 가닥의 철봉을 반으로 접은 다음 柄部각기 따로 비틀어 꼬아 만든 삽자루형으로 되어 있다. 나머지 1점(C-31호)은 철봉을 구부려 한쪽 끝을 반대쪽 끝 부분에 관통시켜 리벳하여 만든 소형의 삽자루형을 하고 있다. 이처럼 함의 제작기법은 영남지역의 원삼국시대 재갈에서 보편적으로 확인되는 3줄꼬기 기법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기본적인 특징이지만, 인수에서 삽자루형이 확인되는 것 또한 주목할 만하다. 입문은 9개체에서 확인되어 굴레연결은 모두 입문식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 중 2매의 판을 겹쳐 그 사이로 굴레를 연결하는 것이 3개체인데 비해 봉형으로 된 것이 6개체이다. 한편 함과 인수 모두 꼬지 않는 기법으로 되어 있는 C-31호 출토 재갈은 충주 금릉동 78-1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표비와 동일한 제작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과 동일한 형태 및 제작기법으로 된 것이 길림 楡樹老河深유적에서도 출토된 바 있어, 중부 내륙 지역에 북방계의 초기 마구가 유입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이 지역과의 연계성에 대한 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등자는 2개체가 확인되었는데, 모두 木心鐵板部分補强등자이다. 이중 C-9호 묘에서 출토된 것은 잔존 목질 흔적이 일반적인 윤등의 것과 상이하여 호등의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향후 관련 자료의 증가 및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봉명동 마구는 함과 인수 모두 한 가닥의 철봉을 구부려 만든 다음 유환을 통해 연결시키는 이른바 신봉동유형의 전형적인 백제 마구 제작기술이 정착하기 직전 단계에 백제 지역에 초기 마구가 정착하기 시작하는 양상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We attempt at presenting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harness from Bongmyeong-dong site, Cheongju. This harness seems to provides a good opportunity for understanding on Baekjae harness. We examine the part of harness from Sinbong-dong tomb, and also report the some features newly observed. The two bits from Bongmyeong-dong is only twisted with the three string, a lot of bits are made of one iron rod. The charactersitics of Bongmyeong-dong harness is that most bits are parts of bridles constituted of a single iron rod and small rings to link it. Then, We consider that the bits of Bongmyeong-dong seems to have represented a substantial flash point in the whole history of Baekjae bits in fifth century. Since bits like ones form Bongmyeong-dong seem to have developed into ones from Sinbong-dong,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typical Baekjae harness.

목차

Ⅰ. 序
Ⅱ. 馬具關聯用語檢討
Ⅲ. 鳳鳴洞出土馬具
Ⅳ. 鳳鳴洞馬具의 特徵과 그 意義
Ⅴ. 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成正鏞(Seong, Jeong-Yong),權度希(Kwon, Do-Hee),諫早直人(Isahaya, Naoto). (2009).淸州 鳳鳴洞遺蹟 出土 馬具의 製作技術 檢討. 호서고고학, 20 , 106-132

MLA

成正鏞(Seong, Jeong-Yong),權度希(Kwon, Do-Hee),諫早直人(Isahaya, Naoto). "淸州 鳳鳴洞遺蹟 出土 馬具의 製作技術 檢討." 호서고고학, 20.(2009): 106-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