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湖西地域磨製石劍의 變化相

이용수 39

영문명
Transition of Stone Daggers in Hoseo Region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孫晙鎬(Kang, Hyun-sook)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20집,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호서지역에서 출토된 마제석검의 형식별 변화 과정과 그 동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병식석검 가운데 가장 이른 형식은 비파형동검을 모방하여 제작된 유단병식과 유구병식이다. 이들은 처음부터 모방의 대상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발생기의 형태가 가장 복잡하다가 점차 단순해지는 방향의 변화상을 보인다. 이와 달리 유절병식은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등장하지만 형식상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다른 청동기물의 모방이 상정되며, 형태적 유사성을 볼 때 도씨검이 그 대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초현기 유절병식에서 유단병식의 특징이 관찰되는 점은, 유절병식의 발생에 유단병식의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짐작케 한다. 즉, 유절병식이 도씨검을 모방한 것은 분명하지만 처음에는 유단병식과의 관계 속에서 특정 요소만을 받아들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 후 점차 유단병식의 특징들이 소멸되는 과정을 거쳐, 청동기시대 후기에 좀더 도씨검과 가까운 형태로 변화되면서 유단유절병식, 단순 유절병식의 순서로 등장하였을 것이다. 청동기시대 후기에 본격적으로 이용되는 일단병식은 심부유단식에서 심부유절식으로의 형식 변화가 상정되는데, 이 역시 도씨검의 특징이 부각되는 형태로의 변화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심부유절식 가운데에는 병부의 단면이 능형을 이루는 것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비파형동검과 도씨검 양자에서 모두 관찰되지 않는 형태적 특징이기 때문에, 다른 기물의 영향 없이 일단병식의 자체적인 형식 변화 과정에서 새롭게 발생한 요소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 형식을 유병식석검의 전체 변화상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유경식석검은 遼東半島의 석창에서 그 기원이 구해지므로, 유병식과는 전혀 다른 형식 변화 과정이 상정된다. 유경식은 대부분 청동기시대 후기에 이용되는데, 전기에 주로 주거지에서 출토되면서 유력자의 상징적 성격을 갖던 유병식이 후기에 의례용으로 변화되면서 신분을 상징하는 도구로서 새롭게 유경식이 등장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ronze Age stone daggers and its social background in Hoseo region. Through the analysis, the author concluded as below. Firstly, the oldest type is stepped and semi-stepped hilt type in the Early Bronze Age(EBA) which imitated Lute shaped bronze dagger. These daggers show complicated features at the beginning because they had concrete proto-types, and then they were gradually changing simpler. However earlier double burled hilt type shows complicated features. Therefore I supposed the another proto-type, which is Taoshi bronze dagger. Since double burled hilt type obviously received strong influence of preceding stepped hilt type at its beginning, double burled hilt type were produced with selecting particular attribute from Taoshi dagger. In the Late Bronze Age(LBA), stepped-hilt dagger disappeared and changed into earliest stepped double burled hilt type, then simple double burled hilt type became more similar to Taoshi dagger. Single hilted daggers used in LBA divided into 2 ramified types, step connected type and shell formed type in which the influence of Taoshi dagger also observed. Most of shell formed type have rhombic section of hilt. Because this feature is not found neither in Lute shaped nor Taoshi bronze dagger, single hilted type had changed their form in their own transforming process without the influence of bronze dagger, which shows that this type is the newest among whole the stone daggers. On the other hand, the origin of stemmed stone daggers seems to be stone spearhead in Liaodong peninsula. Thus they had changed their form in absolutely different process from the hilted daggers. Stemmed daggers appeared newly as status symbol in LBA, in stead of the role hilted daggers played in EBA, because the character of hilted daggers had already changed into ceremonial goods in LBA.

목차

Ⅰ. 머리말
Ⅱ. 型式設定
Ⅲ. 型式別變化相과 祖型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孫晙鎬(Kang, Hyun-sook). (2009).湖西地域磨製石劍의 變化相. 호서고고학, 20 , 1-27

MLA

孫晙鎬(Kang, Hyun-sook). "湖西地域磨製石劍의 變化相." 호서고고학, 20.(2009):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