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부자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A Survey on Perception of Accessibility in the Physically Disabled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조홍중(Cho, Hong-Joong) 박상희(Park, Sang-Hee) 박주영(Park, Joo-Yong)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0권 제1호, 233~2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① 도로 요인, ② 공공시설 요인, ③ 주거시설 요인, ④ 대중교통 요인, ⑤ 통신 요인의 접근권의 중요 정도와 저해 정도에 대해서 지체부자유인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조사는 지체부자유인 166명을 대상으로 하여 ① 도로 요인, ② 공공시설 요인, ③ 주거시설 요인, ④ 대중교통 요인, ⑤ 통신 요인의 접근권의 중요 정도와 저해 정도에 대해서 빈도분석 및 chi-square분석(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 중 접근권의 중요 정도의 전체항목의 Cronbach′ Alpha 계수는 .966이며, 저해 정도의 전체항목의 Cronbach′ Alpha 계수 .97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권 중 「도로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0%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접근권 중 「공공시설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2.8%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접근권 중 「주거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4.0%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3.4%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접근권 중 「교통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0.9%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0.9%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접근권 중 「통신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91.6%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 지체부자유인의 89.8%가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접근권에 대한 지체부자유인의 인식은 전체영역에서 평균 92.8%가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동시에 전체영역에서 평균 92.2%가 저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는 5개 하위영역에서 남성 지체부자유인(87.8%)보다 여성 지체부자유인(96.1%)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동시에 접근권의 저해요인에 대해서 남성 지체부자유인(87.8%)보다 여성 지체부자유인(97.4%)이 더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how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differently the importance and hindrance level of following accessibility : ①road factor ②public facilities factor, ③residential facilities factor, ④public transport factor, and ⑤communication fac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6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χ2 test) were conducted. In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a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he whole items was .966 in the importance of accessibility, and .975 in a hindr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road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Second, for「public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2.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Third, for「residential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0%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8.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urth, for「public transport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0.9%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0.9%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inally, for「communication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1.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89.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r the perception of accessibility in the physically disabled, while mean 92.8% of them perceived as important in the whole areas, mean 92.2% perceived them as hindrance. For sex, female(96.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For the hindrance factors of accessibility, female(97.4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how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differently the importance and hindrance level of following accessibility : ①road factor ②public facilities factor, ③residential facilities factor, ④public transport factor, and ⑤communication fac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6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χ2 test) were conducted. In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a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he whole items was .966 in the importance of accessibility, and .975 in a hindr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road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Second, for「public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2.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Third, for「residential facilities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4.0%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8.46%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urth, for「public transport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0.9%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90.9%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inally, for「communication factor」of accessibility, while 91.6% of a total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as important, 89.8% perceived it as a hindrance factor. For the perception of accessibility in the physically disabled, while mean 92.8% of them perceived as important in the whole areas, mean 92.2% perceived them as hindrance. For sex, female(96.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For the hindrance factors of accessibility, female(97.41%) perceived more important in five subareas than male(87.8%).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홍중(Cho, Hong-Joong),박상희(Park, Sang-Hee),박주영(Park, Joo-Yong). (2007).지체부자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0 (1), 233-256

MLA

조홍중(Cho, Hong-Joong),박상희(Park, Sang-Hee),박주영(Park, Joo-Yong). "지체부자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0.1(2007): 233-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