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93년 전라도관찰사 金文鉉의 향약 시행과 운영 구조

이용수 185

영문명
The implementation of Hyangyak and Its Operational Structure by Kim Munhyun, the Governor of Jeolla-do Province in 1893 - Focusing on Namwonbu and Okguhyun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한미라(Han, Mi Ra)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53집, 139~1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남원부의『 南原府鄕約節次成冊』과 옥구현의『 沃溝七面鄕約 稧節目』자료를 중심으로 1893년에 전라도관찰사 김문현이 향약을 시행한 배경과 김문현의 신칙에 의해 시행된 남원향약과 옥구향약의 임원 조직, 운영, 재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893년 김문현은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면서 동학의 확산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라도에 향약을 시행하였으며, 당시 향약은 조선 정부의 영향에 의해 시행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남원향약과 옥구향약의 임원 조직에서는 공통적으로 향약 전체를 총괄하는 도향약장과 부향약장을 두었으며, 면에는 면약장과 색장, 리에는 별검을 두었다. 남원향약의 임원 직역을 살펴볼 때 도향약장을 비롯한 면약장, 색장, 별검은 幼學이 주로 담당하였다. 반면 남원향약에서는 리의 임원인 별검 아래 리정이 확인되는데, 둔덕방호적중초를 기반 리정의 직역을 살펴보았을 때 리정은 평민 이하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1893년 남원향약과 옥구향약의 운영에서는 과실상규에 대한 직접적인 처벌보다는 선행자와 악행자의 기준이 되는 「善籍秩」, 「惡籍秩」을 기반으로 선적과 악적의 작성을 강조하였다. 선적과 악적의 작성 강조는 1893년 경상도에서 시행된 향약의 사례에서도 확인된다. 즉, 19세기 말 시행된 향약은 과실상규에 대한 직접적인 처벌보다는 선적과 악적 작성을 중심으로 향촌 통제와 교화를 시도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선행자와 악행자 기준은 효, 우애, 이웃과의 화목 등뿐 아니라 이설 숭배에 대한 경계, 조세와 부역 납부, 법령 준수가 기준이 되었다. 옥구향약은 향약전 관련 자료가 남아 있는데, 이를 살펴볼 때 향약전은 각 리의 별검이 관리하고, 리에서 거둔 돈을 면에서 취합하여 도향약소에 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향약전의 경우 각 리마다 거둔 돈이 일정하지 않은데, 이를 보았을 때 약원에게 일정하게 돈을 거둔 것이아닌 家力 등의 사정에 따라 돈을 다르게 거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남원향약과 옥구향약의 경우 자료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동학에 대한 대처, 향약전의 지출 등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없었다. 추후 1893년에 시행된 전라도 다른 지역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공백을 메우도록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about the background information on implementation of Hyangyak in 1893 by Kim Munhyun, the Governor of Jeolla-do Province and the organization of executives, operation and financial affairs of Namwon Hyangyak and Okgu Hyangyak, which was implemented by his forcible press, based on the data from『Namwonbuhyangyakjeolchaseongchaek』of Namwonbu and『Okgu7myunhyangyakjeolmok』of Okguhyun. Kim Munhyun implemented Hyangyak in Jeolla-do Province to control the spread of Donghak as he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in 1983. And it has a strong chance that Hyangyak was implemented by the influence of Joseon Government. Namwon Hyangyak and Okgu Hyangyak shares some common elements in the structure of executives. They both assigned Dohyangyakjang, the leader in city level of the organization and buhyangyakjang, the secondary leader in city level. Also, there were myunyakjang and Saekjang in Myun and Byuljeom in Li. Looking at the major tasks of the executives in Namwon Hyangyak, mostly Yuhak, a scholar not serving the government position, took the role of Dohyangyakjang as well as Myunyakjang, Saekjang and Byulgeom. However, Lijeong was found, one level lower than Byulgeom who was an executive in Li, at Namwon Hyangyak. By researching about the Lijueog’s primary role based on “Doondeokbanghojeokjoongcho” it is highly possible that Lijeong belonged to a social class below the commoners. In 1893, It was emphasized to record virtue and vice based on “Sunjukjil” and “Akjukjil” which set the standard of good and evil person, rather than directly punishing as an application of Kwasilsanggyu in the operation of Namwon Hyangyak and Okgu Hyangyak. The emphasis on recording good and bad behavior was also confirmed from a case of hyangyak implemented in Kyungsang-do Province in 1893. In other words, hyangyak, which was implemented at the late 19th century was considered to control and reform hyangchon utilizing the recording of virtue and evil deed as opposed to punishing under the rule of Kwasilsangkyu. Also, the standard of good and bad people was not only a keeping of filial duty and brotherly love, and being a good neighbor but being cautious on heresy, keeping the duty to pay taxes and force labor, and observance of law. There are data remaining related to Hyangyakjun in Okgu Hyangyak. By looking at the data, Hyangyakjun was managed by Byulgeom in Li and the funds collected from Li was gathered by Myun to submit to Dohyangyakso. Moreover, as for Hyangyakjun, the amount of funds collected by each Li differ from one another. This confirms that the fee was collected based on the economic condition of household rather than the same amount was assigned to the members of Hyangyak. In case of Namwon Hyangyak and Okgu Hyangyak, response against Donghak and expenditure of Hyangyakjun can’t be identified due to the limitation in data. Through another case study regarding Hyangyak implemented in other regions of Jeolla-do Province the gap in this research will be complet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언
Ⅱ. 전라도관찰사 김문현의 향약 시행 배경
Ⅲ. 남원향약과 옥구향약의 임원 조직
Ⅳ. 남원향약과 옥구향약의 운영과 재정
Ⅴ.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미라(Han, Mi Ra). (2021).1893년 전라도관찰사 金文鉉의 향약 시행과 운영 구조. 중앙사론, 53 (1), 139-172

MLA

한미라(Han, Mi Ra). "1893년 전라도관찰사 金文鉉의 향약 시행과 운영 구조." 중앙사론, 53.1(2021): 139-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