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장애인의 자기존중감의 발달 궤적과 직무만족의 관계

이용수 0

영문명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Trajectories and Job Satisfaction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최희철(Choi, HeeCheol) 오승진(Oh, Seoung-Jin) 김경은(Kim, Kyung-Eu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2권 제4호, 181~20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와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자존감의 잠재계층을 알아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잠재계층 간의 직무만족 평균 점수의 차이를 확인했다. 셋째, 본 연구는 자존감과 직무만족 사이의 상호순환 효과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Panel Survey of the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 Wave) 의 1~3차 조사에서 자존감과 직무만족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자존감의 잠재계층은 잠재계층 성장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잠재계층 간의 직무만족 평균 점수의 차이는 ANOVA로 분석되었다. 자존감과 직무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자존감 잠재계층의 수는 3개로 확인되었다. 즉, (a) 높은 점수 지속 유지 집단, (b) 보통 점수 지속 유지 후 상승 집단, (c) 낮은 점수 지속 유지 집단. 세 계층 간의 직무만족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Scheffe 사후분석 결과는 잠재계층 간의 직무만족 점수는 a>b>c 순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며 높았다.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 검증 결과는 선행시점의 자존감은 후행시점의 직무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선행시점의 직무만족은 후행시점의 자존감을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런 결과는 자존감과 직무만족 사이의 상호순환 효과를 지지한다. 결론: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자존감이 실제 삶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이 심리 내적 경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hree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latent classes of trajectories in the longitudinal course of self-esteem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of job satisfaction across the latent classes.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Method: The data of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came from the 1st to 3rd wav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PESD). The latent classes of self-esteem were analyzed through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of job satisfaction across the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through ANOVA. The auto 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ree latent classes of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the consistent high(a), the moderate increasing(b), the consistent low(c) classes.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of job satisfaction across the latent clas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hoc Scheffe tes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a > b > c). The result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showed that the preceding self-esteem significantly predicts the subsequent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 preceding job satisfaction predict the subsequent self-esteem. These results support the reciprocal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esteem has a prospective impact on real-world life-experiences and that satisfaction in work has a prospective impact on internal psychological-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희철(Choi, HeeCheol),오승진(Oh, Seoung-Jin),김경은(Kim, Kyung-Eun). (2019).지체장애인의 자기존중감의 발달 궤적과 직무만족의 관계.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 (4), 181-206

MLA

최희철(Choi, HeeCheol),오승진(Oh, Seoung-Jin),김경은(Kim, Kyung-Eun). "지체장애인의 자기존중감의 발달 궤적과 직무만족의 관계."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4(2019): 181-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