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거이론에 기초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Art Teachers Experience on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임봉숙(Lim, Bong-Suk) 정진자(Chung, Jin-Ja)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1권 제1호, 185~21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미술교육을 위해 미술교사가 경험한 내용에 대해 근거이론을 통해 그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편의목적표집에 의해 3년 이상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미술교육을 경험한 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거쳐 관련성 있는 유형을 분류한 후 상황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의 범주는 총 41개의 개념, 14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이다. 둘째, 중심현상은 ‘소통의 어려움’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수교육의 미술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통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생 만족도 고취’를 핵심범주로 설정하였다. 미술교사의 경험유형은 ‘현실 소극적 수용형’, ‘현실 적극적 참여형’, ‘미래 설계의 개선형’이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미술교사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적 차원, 학교 공동체 및 기관적 차원, 제도 및 정책적 차원에서 종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rt teacher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4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in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n this study categorized relevant types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d deduced conditional matrix. Results: First, regarding the categories of art teacher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there were 41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Second, for or regarding central phenomenon was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by securing expertise of teachers of special art education and raising students satisfaction’ was set as the core category. The types of experience of art teachers were found to be ‘positive acceptance of reality’, ‘positive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improvement of future design’. Conclusion: The study result suggested that comprehens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individual level, school and institutional level, system and policy leve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art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봉숙(Lim, Bong-Suk),정진자(Chung, Jin-Ja). (2018).근거이론에 기초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1 (1), 185-213

MLA

임봉숙(Lim, Bong-Suk),정진자(Chung, Jin-Ja). "근거이론에 기초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1.1(2018): 185-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