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50~60년대 재야공간으로서의 다방과 문인 네트워크

이용수 90

영문명
The Da-bang [cafe] and literary networks as ‘Jaeya spaces’ in the 1950s and 1960s: Focusing on the ‘Myeongdong Era’ of the Literary Circle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김지윤(Kim, Jiyoo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7집, 39~88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 that established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through the ‘Dabang’(cafe) space, which formed the ‘myeongdong era’ of Literary Society in the 1950s and 1960s.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exchange of literary people centered on Dabang , they tried to connect the network of writers in Busan refuge with the network of writers in the so-called ‘Jaeya’(out of the system) before and after.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d in the context of what kind of people interacted and what kind of genealogy it became in the “Jaeya and jaeya space,” or the space that became the base of literary researchers. Such work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movements of those in the day who resisted the power that had invaded in the absence of authority and tried to overcome the plight of the times through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nd the publicness.

목차

1. 머리말
2. 만송족 논란과 문화예술장의 재편
3. 환도 후 ‘명동시대’를 연 다방들과 문인 네트워크
4. 월남문인들과 다방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윤(Kim, Jiyoon). (2021).1950~60년대 재야공간으로서의 다방과 문인 네트워크. 구보학보, 27 , 39-88

MLA

김지윤(Kim, Jiyoon). "1950~60년대 재야공간으로서의 다방과 문인 네트워크." 구보학보, 27.(2021): 39-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