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발달장애인 성행동에 대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방안 연구
이용수 578
- 영문명
- A Study on the Gender Sensitivity of Staff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on Sexual Behavior of Adults with DD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한용현(Yong Hyun Han) 정연수(Yeon Soo Jeong)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5권 제2호, 107~1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가 교육 및 일상의 돌봄 과정에서 경험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행동 유형과 대응태도를 알아보고 종사자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 후 전사 및 코딩분석을 통해 범주화 과정을 거쳐 67개의 개념화, 13개의 소주제, 6개의 핵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시설 종사자에게 인식된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행동은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성인권 보장과 통제 속에서 갈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자가 인식하는 성인지 감수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성인 발달장애인을 성적 존재로 인지하지 못하고 혼재된 감정과 시선으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행동에 양가감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허술한 성교육 등 종사자가 풀어야 할 과제와 함께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性)을 긍정적 활동으로 인지할 수 있는 성인지 감수성 향상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으로 성인 발달장애인 성(性)에 대한 인권적 접근이 필요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전제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자신의 성(性)에 대한 자기점검과 지속적인 성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성인지적 지원은 성인지 감수성에 기반한 조직문화·정서로 자리매김 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xual behavior patterns of adult with D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sponse attitudes of staff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adult with D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daily car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workers gender sensitivity. For this study, 12 staff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consis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xual behavior of the adult with DD perceived by staff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was nega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in conflict with the guarantee and control of adult rights. Second, staffs did not recognize adult with DD as sexual beings, and expressed ambivalence on the sexual behaviors of adults with DD through mixed emo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gender sensitivity to recognize the sex of adults with DD as positive activities along with tasks that staffs need to solve, such as poor sex education. In c onclus ion, a h uman r ights approach to a dult DD i s needed, and as a p rerequis ite to support them, self-examination on the sex, attitudes toward sexual life are requir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sensitive support of community for adults with DD should be positioned as 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ntiment based on gender sensi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지역사회 중심의 포괄적 관점의 연구와 접근을 주지하며.....
- COVID-19가 장애인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성행동에 대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방안 연구
-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 임금 보장 방안
-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기관에서의 의료사회복지업무 현황: 사례연구
- Correlates of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 듣봄 강위영교수의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 유형별 가구 내 자살생각 군집화 영향요인 분석
- 디지털정보화 접근수준이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배움터 참여에 따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에 대한 좋은 실천은 가능한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