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정보보호법상 단체소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용수 623

영문명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Group Litigation System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주영선(Yeong-Seon Ju)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41권 제1호, 53~7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개인정보 침해로 인한 피해는 그 확산속도가 빠르고, 다수의 피해자를 양산하며, 피해규모 역시 매우 크다. 또한 2차・3차 피해위험이 1차 피해보다 훨씬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침해의 경우 사전 예방 및 피해확산 방지가 무엇보다 중요한바,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 시 개인정보단체소송제도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현재까지 개인정보단체소송은 단 한건도 제기되지 않았다. 이처럼 개인정보단체소송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동제도의 구체적인 절차 및 요건이 매우 엄격하기 때문이며, 이는 동법의 입법취지와 침해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채 기존 소비자기본법상 단체소송제도를 그대로 도입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편, 개인정보단체소송은 개인정보처리자로 하여금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제공 등에 대한 경각심 및 준법정신을 높이고, 동일・유사한 개인정보 소송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처리자와 정보주체 사이의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오직 개인에게 피해구제를 맡길 경우 실질적인 피해구제가 어렵기 때문에 정보주체 입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체소송의 무분별한 남소를 방지하되 소제기 자체를 어렵게 하는 요인을 해소함으로써 실효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법상 개인정보단체소송이 가지는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첫째, 단체성과 관련한 제소요건을 보다 구체화하고 정회원 수 등에 대한 원고적격 요건을 보다 완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비영리민간단체의 요건을 합리적 수준으로 정비하여야 한다. 셋째, 개인정보의 경우 2차・3차 피해가 훨씬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침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소제기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권리침해 행위의 금지・중지 청구 이외에 개인정보 파기 등 작위청구를 인정하고, 분쟁조정 전치주의 및 소송허가주의와 같은 절차를 삭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보주체의 실질적 피해구제를 위해 개인정보단체소송과 별개로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한 집단소송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general, the damage caused by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is fast in spreading, mass-producing a large number of victims, and the damage is also very large. In addition, the risk of secondary and tertiary damage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primary damage. Therefore, prev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prevention of the spread of damage are of paramount importance, and for this reas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2011,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Group Litigation System was introduced. Ten years later, however, no lawsuit has been filed. The main reason why personal information group litigation are not properly utilized is that the specific procedures and requirements of the system are very strict, and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the group litigation system under the existing consumer law without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privacy law and the type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 On the other hand, a personal information group litigation may increase the awareness and compliance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use, an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reduce social costs due to the same or similar personal information litigation. In addition, due to the asymmetry between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and the data subject, actual damage relief is difficult if left to the individual, so it is a necessary system for the information su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effectiveness by preventing reckless litigation and eliminating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file a lawsuit. This paper analyzed th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group litigation in detail and sought improvement measures. To put this briefly, it is as follows. First, the requirements for filing litigation related to the organization should be more specific and the requirements for qualification of plaintiffs for the number of full members should be more relaxed. Second, the requirements of A non-profi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shall be improved to a reasonable level. Third, in the case of personal information, secondary and tertiary damages are much greater, so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filing a lawsuit even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infringement. Fourth, a claim such as the destru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long with a request for the prevent and suspension of infringement of rights, shall be accepted. The procedures for transposition system of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and permission of lawsuit shall be deleted. Finally, it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a class-action lawsuit that can claim damages separately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group litigation to compensation for damage of the data subject.

목차

Ⅰ. 서론
Ⅱ. 개인정보단체소송의 개념
Ⅲ. 개인정보단체소송의 주요내용
Ⅳ. 현행 개인정보단체소송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영선(Yeong-Seon Ju). (2021).개인정보보호법상 단체소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논총, 41 (1), 53-77

MLA

주영선(Yeong-Seon Ju). "개인정보보호법상 단체소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논총, 41.1(2021): 53-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