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부산의 일본불교계 현황 연구

이용수 71

영문명
A Study on the Status of Japanese Buddhism in Japanese colonial era Busa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최은령(Choi Eunryu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2호, 35~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부산에 진출한 일본불교의 구체적인 불교의 종단과 건립된 사원에 대해서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고,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통계자료들을 통해서 일본불교를 종파별, 연대순으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1910년대부터 일련종, 선종, 진종, 진언종, 정토종 5개 종파가 1920년대까지 주요 종파로 부산부에 일본불교의 사원을 설립하여 일본인을 대상으로 포교 활동을 하였다. 선종에는 조선 불교의 범어사 포교당이 일본불교와 함께 포함되어 있었고, 일본불교의 총천사도 선종의 사원 포교소로 선종 종파에 포함되어있다. 1930년대 들어가면 여러 가지 변화를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1931년도의 신도수의 폭발적인 증가 양상이다. 이것은 일본불교의 종교적인 측면에서만으로는 해석이 어려운 점이고 당시 일본의 정세와 관련해서 만주사변이라는 전쟁지원과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진종의 포교소 설립과 신도수의 증가에서 주목되었고, 이러한 점은 진종의 일본 정부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와 전쟁지원에 역할이 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가제에 의존했던 조동종도 진종과 마찬가지로 전쟁지원에 주도적으로 역할을 하며 내부적으로 교단의 세를 확장시켜나갔다. 또한 종파의 변화에서 1932년~1933년에는 선종에 총천사가 포교사원으로 기록되어 있고 동시에 조동종이 새롭게 종파로 등재된다. 1934년에는 부산에 유입된 일본불교가 13개 종파로 증가하고 포교소도 다양하게 증가하는 변화 속에서 범어사 포교소를 포함한 조선선종이 독립된 종파로 인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Japanese colonial era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specific Buddhist religion and temples established in Busan was found, and statistics publish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examined Japanese Buddhism in sectarian and chronological order. Japanese colonial era From the 1910s until the 1920s, five major denominations, serial bells, Zen bells, Jinjong bells, and Jeongto bells, established a Japanese Buddhist temple in Busan and carried out missionary activities for the Japanese. Seonjong included the Beomeosa missionary of Joseon Buddhism along with Japanese Buddhism, and the Chongcheonsa Temple of Japanese Buddhism was also included in the Seonjong sect as the temple missionary center of Seonjong. In the 1930s, statistics show that many changes were made, particularly in the explosion of congregation in 1931. This is difficult to interpret only in the religious aspect of Japanese Buddhism, and it can be found to be related to the war support of the Manchurian Incident in relation to the situation in Japan at that time. In particular, it was noted in the establishment of Jinjong s missionary center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believers, which confirmed that Jinjong played a major role in active 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and support for the war. Jo Dongjong, who relied on the unit price system, played a leading role in supporting the war and expanded the power of the denomination internally. In addition, King Seonjong recorded Chongcheonsa as a missionary from 1932 to 1933, and Jo Dongjong was newly listed as a sect. In 1934, Japanese Buddhism, which entered Busan, wa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ect amid the increase in 13 denominations and the increase in missionaries.

목차

Ⅰ. 서론
Ⅱ. 일제강점기 부산의 일본불교와 사원 현황
Ⅲ. 부산에 유입된 일본불교의 역할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령(Choi Eunryung). (2021).일제강점기 부산의 일본불교계 현황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2 (2), 35-61

MLA

최은령(Choi Eunryung). "일제강점기 부산의 일본불교계 현황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2.2(2021): 3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