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Effectiveness of a Video Intervention According to Distress Levels

이용수 16

영문명
디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영상 매체의 심리적 안정화 효과성 검증 연구: 정서생리적 반응 지표 차이를 중심으로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Hye Sun Joo Ki Seong Kim Sang Jeong Moon Do Hee Kim Ye Jin Han Young J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2, 109~13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영상 처치의 심리적 안정화 효과성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1명을 단일경관과 복합경관 영상 집단에 무선할당하고 영상 처치 후 심리생리적 지표(정적 및 부적정서, 상태불안, EEG)를 측정하였다. 이후 각 영상 주제 내 디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상 처치에 따른 심리생리적 반응 변화가 유의한지 통계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영상 집단 내고 디스트레스군은 처치에 따른 부적정서가 감소하였고 상태불안은 복합경관 처치 후 감소하였다. 반면 저 디스트레스 군에서는 정서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 단일경관 고 디스트레스군의 경우, 우측 전두엽, 측두엽, 좌측 전전두엽의 감마파가 증가했지만 우측 전전두엽 감마파는 감소했다. 복합경관고 디스트레스군의 좌측 전전두엽 베타파는 증가, 우측 전두엽 세타파는 감소했다. 이로써 영상 처치후 모든 디스트레스 수준에서 인지적 처리수준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높은 디스트레스 수준에서 영상에 따른 부정적 정서조절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 populations with different distress levels can gain different psychological stabilization benefits from the video intervention. The study randomly assigned 21 university students to two intervention arms(Only and Mix) and psychophysiological indicator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video stimuli. The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to verify if there are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key variables. The analysis discovered that the negative affect decreased in the high-distress population of the Only and Mix arms and state anxiety dropped after the Mix intervention. However, the low-distress populations in both arm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affect. In the high-distress population of the Only arm, gamma waves at the left prefrontal, right frontal and temporal lobe increased, while right prefrontal gamma waves decreased. The high-distress subjects of the Mix arm showed an increase in beta waves at the left prefrontal, while the right frontal theta waves decreased.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video interventions can boost cognitive processing regardless of the distress level, and the video invention can be effective in regulating the negative affect in the high-distress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e Sun Joo,Ki Seong Kim,Sang Jeong Moon,Do Hee Kim,Ye Jin Han,Young Jun Choi. (2021).The Effectiveness of a Video Intervention According to Distress Levels. 한국위기관리논집, 17 (2), 109-133

MLA

Hye Sun Joo,Ki Seong Kim,Sang Jeong Moon,Do Hee Kim,Ye Jin Han,Young Jun Choi. "The Effectiveness of a Video Intervention According to Distress Levels." 한국위기관리논집, 17.2(2021): 109-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