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Multicultural Families

이용수 109

영문명
다문화가정 가정폭력 피해 경험 실태분석과 함의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Eun Young Ryu Suk Jeong Jo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2, 145~15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시에 거주하는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출신 16명의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가정폭력피해 실태를 분석하고 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3명을 사례관리자로 교육하고 모두 16명을 심층면접하였다. 사례관리자와 사례회의를 통해 심층면접결과를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 과정을 거쳐 가정폭력피해 실태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 분석 결과 가정폭력 유형을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서적 폭력, 경제적 폭력, 신체적 폭력, 성적폭력, 사회적 격리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가정폭력의 특징은 약점을 이용한 폭력, 경제적 유무와 상관없는 내 맘대로 폭력,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비 존중에 따른 폭력, 결혼이주여성들의 막연한 두려움을 이용한 폭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중개업소에 대한 엄격한 관리 및 책임부여,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사례 공유, 결혼사증발급을 위한 소득조건 강화 등의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of 16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the Philippines and Cambodia living in Busan City and prepared policy alternatives for prevention. To this end, 3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the Philippines, and Cambodia were educated as case managers, and 16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etc.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the types of domestic violence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emotional violence, economic violence, phys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social isolation in order of high frequenc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omestic violence are mainly violence using weaknesses, violence at will regardless of economic existence, violence due to disrespect for marriage migrant women, and violence using vague fears of marriage migrant wome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policy measures to prevent domestic violence against marriage immigrant women, such as strict management and responsibility for marriage brokerages, sharing cases for preventing domestic violence, and strengthening income conditions for issuing marriage visa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Eun Young Ryu,Suk Jeong Jo. (2021).Analysis and Implications of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Multicultural Families. 한국위기관리논집, 17 (2), 145-159

MLA

Eun Young Ryu,Suk Jeong Jo.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Multicultural Families." 한국위기관리논집, 17.2(2021): 145-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