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 Exploratory Study on School Safety Education after the Ferry Sewol Disaster

이용수 49

영문명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을 중심으로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Min Seop Kim Jeong-Hun Won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2,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학교 안전교육의 대표적인 정책인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대상으로 7대 표준안의 현장 적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관련 법과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활용하여 7대 표준안을 분석한 결과, 법률 측면에서 학교 안전법의 기본법 기능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7대 표준안을 활용한 안전교육의 만족도보다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안전교육은 학생들의 요구수준을 충분히 부응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사들은 7대 표준안의 취지에 대체로 공감하나, 교육 시행에는 소극적이며 안전교육과 관련된 행정업무에 부정적 성향을 나타내므로 교사들의 안전교육 실행을 저해하는 내⋅외부적 요인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정책 집행 측면에서 교육부는 7대 표준안 활성화를 위해 법률적 보완 노력이 필요하며, 예비교사들의 7대 표준안 활용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도록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교육청은 안전교육 책임자의 전문성 확대 노력과 지역의 유관 기관 ?? 시민단체와 협력하여 7대 표준안 교육 내용을 지원하는 학교 안전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rived problems arising from the field application of “Seven Standards for School Safety Education” a representative policy of schools after the Sewol ferry sinking accident. As a result, the Seven Standard was analyzed that the basic law function of the school(School Safety Acts) needed to be strengthened to serve as the basic laws for school safety. Based on the students’ perceptions, the safety education of the school did not sufficiently meet the demands of students since the necess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level of safety education. Teachers generally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e Seven Standards, they were passive in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showed negative tendency to administrative work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so there is need to improv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hinder teachers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In terms of policy execu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a policy to expand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afety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school safety education system that supports the contents of the seven standards of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local related organizations and civic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Min Seop Kim,Jeong-Hun Won. (2021).An Exploratory Study on School Safety Education after the Ferry Sewol Disaster. 한국위기관리논집, 17 (2), 1-15

MLA

Min Seop Kim,Jeong-Hun Won. "An Exploratory Study on School Safety Education after the Ferry Sewol Disaster." 한국위기관리논집, 17.2(2021):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