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새로운 시민의 등장과 한국의 다문화현상

이용수 29

영문명
Emergence of New Citizens and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focused on marriage immigrant women
발행기관
한국세계지역학회
저자명
조희원(Cho, Hee Won)
간행물 정보
『세계지역연구논총』제33집 제3호, 235~25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제 초국적 이주는 특정한 지역에만 한정된 특수한 현상이 아니다. 지구화가 가속화되어감에 따라 인간의 초국적 이주 현상은 보편적인 현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주민들은 국가의 영토적 경계를 벗어나 새롭게 이주한 국가에 거주하면서 본래의 국적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고 이주한 국가에 귀화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사회도 1990년대 이후 급증하기 시작한 이주 현상으로 인해 다문화적 변화를 겪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이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국적이나 시민권의 문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임시체류자로 분류되는 이주민들과는 달리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족을 구성하고 재생산을 담당하며 영주가 가능한 이주민이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은 이주민인 동시에 여성이라는 이중적인 소수자의 위치에서 이중적으로 배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뿌리 깊은 편견과 제도적인 불평등으로 인해 매우 불안전한 위치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시민권에 대한 고찰은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사회통합방식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Now, transnational migration is not a special phenomenon limited only to particular areas. As globalization accelerates, human transnational migration has become a universal phenomenon. Some migrants retain their original nationality living in their new countries they migrated to out of the territorial boundary, or some become naturalized citizens of the new country. Since 1990, Korean society has suffered multicultural transformation through a fast growing migration. As various types of foreign migrants continue to come in, the issue of nationality or citizenship is being magnified as an important controversy. In particular, unlike migrant workers who are classed as temporary migrants, marriage immigrant women organizing a family which is a standard unit of Korean society and taking charge of reproduction are able to settle permanently. But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immigrants, and they lie concurrently in a position of minority. So they are doubly an object of exclusion. Although they are an important member of Korean society, they still stay in an unstable and dependent position. Therefore, a review on the citizenship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s significant in that it makes reflective introspection on awareness about foreign immigrants and a social integration method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시민권과 초국적 이주
Ⅲ. 한국의 다문화현상과 결혼이주여성의 시민권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희원(Cho, Hee Won). (2015).새로운 시민의 등장과 한국의 다문화현상. 세계지역연구논총, 33 (3), 235-254

MLA

조희원(Cho, Hee Won). "새로운 시민의 등장과 한국의 다문화현상." 세계지역연구논총, 33.3(2015): 235-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