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이용수 583

영문명
An Empirical Analysis on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ntention of Residential Movement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임준홍(Im, Jun-hong)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9권 제1호 (통권 제51호), 13~2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남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가구의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가구는 생활지역(도시와 농촌)에 따라 주거환경만족도의 차이는 없다. 즉, 도시생활자가(5.56)가 농촌생활자(5.47)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다. 둘째, 주거환경 요인별 분석결과, 도시생활자는 생활편의시설의 이용 만족도가 높은데 반해, 농촌생활자는 대기, 소음진동, 녹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셋째, 청년 1인가구의 생활지역에 따라 주거이동의향은 도시생활자가 농촌생활자보다 높다. 넷째,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주거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준다. 특히, 편의시설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큰 영향을 주고, 이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서 공통적이다. 다섯째,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 생활자는 특정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농촌지역 생활자는 문화관광스포츠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청년 1인가구는 도시활력 유지와 거주안정성 강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년의 높은 주거비 부담을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주택공급, 청년들에게 매력을 줄 수 있는 주거환경 정비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vides the residential areas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living in Chuncheongnam-do into urban and rural areas, and analyze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y intend to migrat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living areas (cities and rural areas). Although urban residents’ satisfaction (5.56 out of 10)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5.47),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urban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ccess to living facilities, while rural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ir, noise, and green areas. Third, depending on the living area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urban residents’ intention of the residential movement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Fourth, the analysis on the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ws that all four types of housing facto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particular, convenience facility factors have a greater impact than other factors, which are common in urban and rural areas. Fif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move around, urban residents are not greatly affected by certain factors, and rural residents are greatly influenced by cultural tourism and sports factors. Young one-person households are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urban vitality and strengthening residential stabi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high cost of housing for young people, various housing policies in the supply-side for young people and the maintena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attract young people are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분석방법
Ⅲ. 탐색적 분석
Ⅳ. 실증분석 : 주거환경 만족도 및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준홍(Im, Jun-hong). (2021).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 (1), 13-24

MLA

임준홍(Im, Jun-hong).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1(2021): 1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