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방법론을 활용한 주거복지 종사자의 주거복지 인식 차이

이용수 94

영문명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residential welfare among residential welfare workers using Q methodology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배동학(Bae, Dong Hak) 이한나(Lee Han Na) 김승희(Kim, Seung Hee)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9권 제1호 (통권 제51호), 307~32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거복지 종사자에게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주거복지 종사자들의 주거복지 인식에 대한 주관적인 개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거복지 종사자의 주거복지에 대한 인식은 4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1유형은 물리적 주거환경 개선형, 2유형은 주거복지 정책지원형, 3유형은 광의의 주거서비스 지원형, 4유형은 ‘주거권’ 보장을 위한 주거복지 실현형이다. 이러한 분류는 결국 주거복지 개념과 서비스의 범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도출된 것으로 보인다. 주거복지의 개념을 협의로 인식하는가(2유형), 광의로 인식하는가(4유형)에 따라 유형이 분류되었다. 또한, 주거서비스의 범위를 물리적 시설개선에 한정하는가(1유형),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상담·발굴·심리·정서적 서비스까지 포함하여 인식하는가(3유형)에 따라 분류되었다. 이는 주거복지업무 종사자의 업무에 대한 이해와 수행 정도에 따라 개인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거복지 업무는 주거안정과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수단임을 고려하면, 주거복지 종사자의 주거복지에 대한 인식이 넓은 의미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주거복지 종사자는 물리적 주거서비스, 경제적 주거서비스는 포함 시키고 있으나 생활의 편리함을 유지할 수 있는 생활서비스 개념은 업무 범위에 포함 시키지 않았다. 이에 전반적인 주거복지 업무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인식의 차이마다 복지업무의 실천이나 문제해결이 상이 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 및 실천방안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subjective concept of residential welfare workers perception of residential welfare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o residential welfare workers.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welfare of residential welfare workers was deriv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is the physical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type, the second type is the residential welfare policy support type, the 3 type is the broader type of housing service support type, and the 4 type is the realization type of residential welfare to guarantee the right to live. This classification seems to have been derived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residential welfare and the scope of services. The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ncept of residential welfare was recognized as a consensus (type 2) or a broad sense (type 4). In addition,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scope of residential services is limited to physical facility improvement (type 1), and whether it includes counseling, discover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ervices for the vulnerable (types 3). It is judged that individuals percep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of the work of the residential welfare worker. Considering that residential welfare work is a means of improving housing stability and housing standar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wareness of housing welfare workers in a broad sense. Residential welfare workers include physical housing services and economic housing services, but the concept of living services that can maintain the convenience of life is not included in the scope of work.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overall residential welfare work. In addition, since the practice of welfare work or problem-solving may appear differently for each difference in perception, education and action plans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chang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동학(Bae, Dong Hak),이한나(Lee Han Na),김승희(Kim, Seung Hee). (2021).Q방법론을 활용한 주거복지 종사자의 주거복지 인식 차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 (1), 307-320

MLA

배동학(Bae, Dong Hak),이한나(Lee Han Na),김승희(Kim, Seung Hee). "Q방법론을 활용한 주거복지 종사자의 주거복지 인식 차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1(2021): 307-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