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방법의 의미와 가치

이용수 542

영문명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Oral Method as an Educational Practice of Public History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아(Kim, Kyung A)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9호, 7~59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우리 사회는 대중이 역사를 즐기고 소비하는 역사 대중화를 넘어 역사 생산에 참여도 하는데 이는 ‘공공역사’라는 개념으로 표현될 수 있다. 공공역사는 대학, 연구소 등 제도권 안의 기관들뿐만 아니라 제도권 밖의 영역을 포함한 공간에서 역사전문가들과 대중들이 함께 역사 지식을 생성하고 소비하며 공유(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역사가들의 역할 증가와 전문역사학계의 위기의식, 대중적 역사 소비와 생산을 가능케 하는 기술적 발달과 상업화의 논리, 이에 관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관심은 공공역사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공공역사에 대한 기대와 함께 우려도 있다. 정확성과 객관성, 교육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의 균형 잡기, 상업화로 인한 지나친 단순화와 왜곡, 취업용 프로그램으로의 전락 등이다. 공공영역의 교육기관인 학교는 이 쟁점들을 공론화하고 완화할 정당성과 책무성을 부여받는다. 공공역사는 개개인을 역사 지식의 생산의 주체로 참여시키고, 학문적 민주화를 지향하며, 국가·사회적으로 공공선이 실현되는 민주시민사회로 나아가도록 하는 역사교육적 가치가 있다. 역사는 과거와 동일하지 않고 기억과 역사도 다르므로 한 사회의 합의를 통해 선택한 공식적 기억의 역사화 작업은 중요하며 이러한 과정에는 대중들의 참여와 역할이 중요하다. 그리고 공공역사를 학교에서 교육적으로 실천하는 한 방안으로 구술사를 활용할 수 있다. 구술사는 역사교육적으로 유용하다. 학생들을 역사 생산의 참여자로 만들며, 생생한 역사이해를 돕는다. 또 사회적으로 배제된 집단과 소수자,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역사화 하면서 개인을 역사의 주체로 인식할 수 있다. 스스로 역사를 이끄는 주체임을 인식하는 역사의식을 함양하고 민주사회의 일원으로 실천의식을 키운다. ‘구술사를 활용한 역사하기’를 통해 학생들이 구술사의 역사교육적 가치를 함양하기도 했지만 일부 아쉬운 점들도 있었다. 앞으로 구술사를 포함한 학교에서의 다양한 공공역사 실천방안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하며 공공역사의 교육적 실천을 활성화하기 위해 구술사와 같은 방법들을 교육과정에 통합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oday, our society participates in the production of history beyond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in which the public enjoys and consumes history, which can be described as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refers to the creation, consumption and sharing (communic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ogether with historical experts and the public in spaces that include areas outside the system as well as institutions within the system,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increasing role of mass historians, the sense of crisis in the professional history academia, the logic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at enable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mass history, and the interest of the historians and history education circles in this regard have aroused the discussion of public history. There are also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public history. Accuracy and objectivity, balancing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values, excessive simplification and distortion due to commercialization, and degenerating into employment programs. School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ublic domain, are given the legitimacy and responsibility to publicize and mitigate these issues. Public history has historical educational value that involves individuals as the main agents of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knowledge, aims for academic democratization, and moves toward a democratic civil society where public good is realized nationally and socially. Since history is not the same as the past, memory and history are different, the work of historicalizing the official memory chosen through consensus of a society is important, and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the public is important in this process. And an oral history can be used as a way to practice public history educationally in schools. An oral history is useful in historical education. It makes students participants in history production, and vivid history helps them understand. In addition, individuals can be recognized as the subjects of history while making the lives of socially excluded groups, minorities, and ordinary people. It cultivates a sense of history that recognizes itself as a leading body of history and develops a sense of practice as a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Students cultivated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 of oral history through “History Using Old Testament,” but there were some regrets. In the future, various public history practices should be explored in schools, including oral history,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o integrate methods such as oral history into the curriculum to revitalize educational practice of public history.

목차

Ⅰ. 머리말
Ⅱ. 공공역사와 역사교육
Ⅲ. 역사교육에서 공공역사 모델과 실천방법으로써 구술사
Ⅳ. 구술사 방법론을 활용한 역사하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아(Kim, Kyung A). (2021).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방법의 의미와 가치. 역사교육연구, (39), 7-59

MLA

김경아(Kim, Kyung A).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방법의 의미와 가치." 역사교육연구, .39(2021): 7-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