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사회 전문가 집단의 내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Internal Diversity of Professional Group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Public Awareness of Professional Group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수정(Su Jung Kim) 이명진(Myong-Jin Lee) 최샛별(SetByol Choi)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논집』제49권 제1호, 166~187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대사회에 들어와 점차 다양해지는 전문가 집단의 내적 다양성과 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 및 평가에 주목하여 이를 실증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향후 전문가 집단의 내부적 차이에 대한 연구가 심화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전문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전문가를 규정하는 다양한 기준들을 살펴보고 공통적으로 지목된 전문가의 특성으로 지식전문성(전문지식, 업무수행능력), 권력(사회적 지위, 사회적 영향력, 소득수준), 그리고 사회적 책임(공익성, 윤리성, 법/규정 준수)을 선정하여 이 기준들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 전 분야에 걸쳐있는 21개 전문가 집단이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요인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가 집단의 특성은 크게 지식전문성과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정당성’ 및 ‘권력’의 두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같은 기준에 근거해 21개 전문가 집단은 1) 권력과 정당성이 모두 높은 집단, 2) 권력과 정당성이 모두 낮은 집단, 3) 상대적으로 권력이 더 높은 집단, 그리고 4) 상대적으로 정당성이 더 높은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이 연구는 그 동안 동질적 집단으로 간주되어 왔던 전문가 집단의 내적 다양성과 이질성을 살펴보고 유형화함으로써 한국사회 전문가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ssify professional groups who were once regarded as a homogeneous group into different categories and to clarify an internal diversity and heterogeneity among them.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professionals, three common criteria were selected as the attributes of professions: knowledge-based expertise(professional knowledge, work performance), potency(social status, social influence, income level) and social responsibility(public interest, ethics, legal/regulatory compliance). Based on these criteria, this study used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tional Scaling(MDs) to examine how 21 professional groups in Korean society can fall into different categories. Moreover, public awareness and evaluation on profess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which category each group belongs to.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attributes of profession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f ‘legitimacy’(including knowledge-based expertise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potency’. Second, the 21 professional groups were classified as 1) those with high potency and legitimacy, 2) those with low potency and legitimacy, 3) those with relatively higher potency, and 4) those with relatively higher legitimacy. This study has widened the horizon of profession research in Korean society by classifying professions into different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자료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정(Su Jung Kim),이명진(Myong-Jin Lee),최샛별(SetByol Choi). (2018).한국 사회 전문가 집단의 내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49 (1), 166-187

MLA

김수정(Su Jung Kim),이명진(Myong-Jin Lee),최샛별(SetByol Choi). "한국 사회 전문가 집단의 내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49.1(2018): 166-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