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층화된 젊음

이용수 189

영문명
Unequal Pathways to Adulthood: Inequality in Labor market and Family Formation Opportunities of Young Adults in Korea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영미(Young-mi, Kim)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논집』제47권 제2호, 27~5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생애과정의 관점에서 청년기의 노동시장 기회와 가족형성의 기회의 평등은 청년기 뿐만 아니라 이후 생활기회의 형평성을 결정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비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복지제도의 특징, 산업사회 발전단계 상의 특징 때문에 세대 간 불평등 보다는 세대 내 불평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전 코호트들 보다는 훨씬 계층화된 기회구조 속에서 사회화과정을 겪고 성인기에 진입한 현재의 청년층에서 출신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한국사회 기회불평등에 대한 조사>를 이용하여 2,30대 청년층의 노동시장 기회와 가족 형성의 기회 불평등을 분석한 결과, 가족 배경의 영향력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출신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청년들은 서울소재대학 진학, 대학에서의 경험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가족 출신의 청년들에 비해 불이익을 경험하고 있으며 경제활동에서도 불이익을 경험하고 있다. 청년 여성과 남성은 교육 성취(학벌, 대학에서의 경험)에 있어서는 매우 유사하지만 노동시장에서의 성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가족 형성의 기회에 있어 젠더와 학력, 가족배경의 상반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남성 생계부양자, 여성 양육자라는 성별화된 이상형에서 벗어난 집단의 청년 남성과 여성들이 가족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러한 노동시장 기회에서 그리고 가족 형성의 기회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가족 배경의 영향력은 청년층의 주관적 인식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불평등인식, 기회공정성 인식, 대우공정성인식, 사회이동인식, 정치성향, 그리고 삶의 만족도 등 주관적 인식의 다양한 측면들을 통해 볼 때 다른 어떤 연령집단에서보다 청년층에서 가족배경의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청년층 내 객관적 기회 불평등이 주관적 인식의 차이를 낳고 있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세대 내 주관적 인식 차이가 큰 청년층이 세대 내 인식의 차이가 적은 중장년층이나 노년층에 비해 동질적인 정치적 목소리를 내기 어려울 수도 있음을 함의한다.

영문 초록

Equality in opportunity in the early adulthood in terms of labor market chances and family formation is crucial as it pertains to the equality of long-term life chanc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Korea’s macro conditions such as its welfare institutions and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enable a prediction that inequality would be greater within each generation rather than between them. Particularly, the current young adult (born in between 1980s-1990s), which is the first generation who spent their childhood under extensively stratified social conditions as a consequence of rapid industrialization starting in the late 1960s, is expected to show the greatest within-generation inequality.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collected in 2016,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various socioeconomic and cultural outcomes including income, employment, marriage/childbearing intentions, political attitudes, evaluation of fair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determining power of family background on various individual outcomes is stro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the young adult group. Young adults from lower socio-economic background seemed to bear significant disadvantages in terms of both employment(income) and family formation (dating experience, attitudes towards marriage and children)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attributes. Such conspicuous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s among the young adult continued in the subjective side including issues such as evaluation of fairness, anticipation of upward mobility, political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Strong in-group heterogeneity in subjective perception implicates a unique political quandary of the young generation in Korea.

목차

I. 문제제기
II. 청년기 불평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
III. 연구자료와 방법, 청년층의 내부구성
IV. 청년층의 노동시장 기회 불평등
V. 청년층의 가족 형성 기회의 불평등
VI. 청년층의 기회 불평등 인식의 세대 내 차이
Ⅶ. 토론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미(Young-mi, Kim). (2016).계층화된 젊음. 사회과학논집, 47 (2), 27-52

MLA

김영미(Young-mi, Kim). "계층화된 젊음." 사회과학논집, 47.2(2016): 27-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