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화교사회의 형성과 생활양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4
- 영문명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n Jeju and its living activities - Centered on the initial migration process and economic activi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양세영(Yang, Se-You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55권, 255~2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는 제주화교의 기원과 초기 이주과정, 일제 강점기의 생활양상을 조명함으로서 지역화교 연구의 지경의 확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사실은 첫째, 첫 이주자가 다른 지역과는 달리 목공과 석공 등 기술 노동자였으며 이후 소규모 포목상과 잡화상이 도래하였다. 이주 시기도 1909년 이전으로 최소 112년 전부터 제주에서 화교가 거주하여 왔다. 여건이 좋은 개항도시를 떠나 원격지인 제주까지 진출하여 경제활동을 추진한 것은 상당한 개척정신의 산물로 평가된다. 둘째, 1930년대 초반에는 100명에 가까운 인구가 거주하는 등 화교사회가 활성화되었으며 제주지역 주민과의 교류도 활발하였다. 포목점과 음식점 영업, 그리고 주요시설 건축과 지역개발공사 참여를 통해 제주지역 사회에 경제적인 기여를 하였다. 셋째, 1931년 만보산 사건과 1937년 중일전쟁과 같은 정치사회적 격변기에 제주화교 사회는 타격을 받았고, 특히 중일전쟁은 결정적 충격 요인으로 작용하여 상당수 화교가 본국으로 이탈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이 시기 잔류 제주화교는 친일을 강요당하는 등 제주지역 주민과 동일한 고통을 공유하였다.
본 연구가 남긴 과제는 향후 제주화교의 주요 인물과 상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서 보다 생생한 생활사가 복원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연구범위도 해방 이후 제주화교의 활동으로 확대하여 이 시기 화교와의 역사적 연결성을 점검하는 것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illuminating the origins of overseas chinese in Jeju(Jeju Hwagyo),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their living activiti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s a result, the scope of local Hwagyo research is expected to expand. The main facts revealed through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igrants were technology workers, such as carpentry and stonework, unlike other regions, and later small-scale textile shops and miscellaneous goods stores entered Jeju. The migration period of Jeju Hwagyo is presumed before 1909. Instead of the open port city with good conditions, it is considered to be considerable pioneering spirit for them to come to the remote island of Jeju. Second, in the early 1930s, nearly 100 Hwagyo lived, and the Chinese society was active, and exchanges with Jeju residents were also brisk. Economic exchanges were made through the business of textile store and Chinese restaurants, and contribution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major facilities in Jeju an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were also made. Third, during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such as the Manbosan incident in 1931 and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Jeju Chinese community was hit, especially the Sino-Japanese War, which resulted in the departure of many Chinese from Jeju. As a result, the Chinese society shrank. In addition, the remaining Jeju Hwagyo during this period shared the same pain with the residents of Jeju, such as being forced to work pro-Japanese.
In the future, more vivid living history needs to be restored by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on major figures and shops of Jeju Chinese,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historical connectivity between Jeju Chinese community of this period and after libe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제주화교의 초기 형성과정
Ⅲ. 제주화교 사회의 성장과 생활양상
Ⅳ. 정치․ 사회적 변동과 파급영향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삭제] 고려 김수(金須)의 생애와 제주도
- [삭제] 제주 화교사회의 형성과 생활양상에 관한 연구
- 제주민요로 보는 제주경제사 연구 시론
- [삭제]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과 혼잡지각, 만족 및 관광개발지지에 관한 연구
- [삭제] 제주의 근대 인물유산으로서 석주명
- [삭제]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삭제] 마을자치와 제주 향약에 관한 연구
- [삭제] 마을 만들기 전략으로서 제주 농촌의 학교 살리기 사례 분석과 지속가능 지역교육공동체 탐색
- [삭제] 조선오만분일지형도(朝鮮五萬分一地形圖)의 제주도 사찰
- [삭제] 시적 공간 ‘성산포’의 장소성 고찰
-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과 혼잡지각, 만족 및 관광개발지지에 관한 연구
- 시적 공간 ‘성산포’의 장소성 고찰
- 고려 김수(金須)의 생애와 제주도
- 제주 화교사회의 형성과 생활양상에 관한 연구
- [삭제] 제주민요로 보는 제주경제사 연구 시론
- 붉바리 서식행동특성을 이용한 사육수조에 쉼터(Shelter) 설치가 어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삭제] 제주도산 목련강의 목련아강, 조록나무아강, 석죽아강, 딜레니아아강의 목록
- 마을 만들기 전략으로서 제주 농촌의 학교 살리기 사례 분석과 지속가능 지역교육공동체 탐색
- 제주의 근대 인물유산으로서 석주명
- [삭제] 제주도 용암숲 곶자왈에 자라는 몇 종 식물의 분류학적 주해
- 마을자치와 제주 향약에 관한 연구
-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조선오만분일지형도(朝鮮五萬分一地形圖)의 제주도 사찰
- [삭제] 붉바리 서식행동특성을 이용한 사육수조에 쉼터(Shelter) 설치가 어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삭제] 10~12세기 고려의 渤海難民 수용과 주변국 同化政策
- 제주도 용암숲 곶자왈에 자라는 몇 종 식물의 분류학적 주해
- 10~12세기 고려의 渤海難民 수용과 주변국 同化政策
- 제주도산 목련강의 목련아강, 조록나무아강, 석죽아강, 딜레니아아강의 목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