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녹색전환을 위한 헌법개정과 입법과제

이용수 166

영문명
Constitutional amendments and Legislative challenges for the Green Transformatio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한상운(Han, Sang Un)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26卷 第4號, 255~28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에 한국정부는 환경과 관련하여 중대한 국가기본정책으로 「한국판뉴딜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것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국가의 기본정책이 기존의 관점과 달리 혁신적이라 할 만큼 그 변화의 폭과 영향이 국정전반에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녹색전환이 달성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기존의 자본주의에 입각한 헌법적 가치를 녹색가치로 전환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현행 헌법상 규정된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대립된 가치변경은 수많은 사회적 논쟁과 갈등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녹색전환의 내용구성은 1차적으로는 인간중심주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접근하고, 반대로 인간의 존엄과 가치는 새로운 사회변화에 맞추어 좀 더 유연하게 해석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녹색전환이 추구하고자 하는 내용이 법적으로 실현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대한 실현될 수 있도록 ‘법원리(Prinzip)’ 방식으로 녹색전환의 입법전략을 추진할 필요성이 크다. 즉 녹색전환의 완벽한 실현은 현실적으로 어렵더라도 가능한 선에서 헌법적 차원의 녹색전환을 위한 가치가 헌법개정을 통하여 헌법상 기본원리로 수용되어야 한다. 근대 산업사회에 바탕을 둔 기계론적 세계관에 입각한 ‘환경’의 전통적 의미를 탈피하여 새로운 가치관에 적합하도록 녹색전환을 위한 환경국가원리가 헌법상 기본원리로 새롭게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녹색전환을 위한 헌법상 기본원리에 터잡아 녹색전환을 실현하기 위한 견고한 법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즉 녹색전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녹색성장기본법은 물론, 지속가능발전법, 에너지법, 환경정책기본법 등 현행 관련 법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핵심 입법과제로서 녹색전환을 위한 기본적 사항을 담을 수 있는 가칭 “녹색전환기본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입법의 주된 내용으로서 녹색전환을 위한 미래한국사회의 비전과 기본방향, 기후변화대응 감축목표 명시, 기후적응정책의 범주 확대와 실질화, 정부부처별·산업부문별 목표 설정과 그 이행 방안, 포용적 녹색전환을 위한 사전교육, 지구적 생태계 가치와 보전, 녹색전환위원회 설치 등이 규정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Korea Version New Deal Policy” a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related to the environment. This means that the breadth and impact of the change is affecting the overall state affairs so that the basic policy of the countr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s innovative, unlike the previous point of view. a prerequisite for achieving the green transition, the constitutional values based on existing capitalism must be converted into green values.. However, the change of values contrary to the dignity and values of human beings stipulated in the current constitution inevitably leads to numerous social debates and conflicts.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the green transition should be approached in a range that does not damage anthropocentrism, and on the contrary, human dignity and values should be interpreted more flexibly in line with new soci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legislative strategy of the green transformation in a fundamental Principle manner because the content that the green transformation is pursuing can be realized to the maximum extent that is practical as well as legally feasible.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difficult in reality to realize the perfect green transformation, the value for green transformation at the constitutional level must be accepted i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through constitutional amendment. However, the environmental state principle for green transformation needs to be newly established as a fundamental principle in the constitution so as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meaning of “environment,” based on a mechanistic worldview based o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and fit new values. What is important is not just to make a constitutional principle for a green transformation, but a solid legal system to realize a green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alize a green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existing Fundamental laws for Green Growth, as well as the current related legal systems such a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ct, the Energy Act, and the Fundamental Environmental Policy Act. In addition, as the most important legislative task, the tentatively named “Fundamental Law for Green Transformation” should be enacted, and its contents include the vision and fundamental direction of the future Korean society, clarification of reduction targets for climate change response, and categories of climate adaptation policies. Expanding the scope and substantialization of climate adaptation policies, setting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each industry sector by government department, preliminary education for inclusive green transformation, global ecosystem values and conservation, and establishment of a green transformation committee should be stipulated.

목차

Ⅰ. 서론
Ⅱ. 현행 녹색법제의 의미와 녹색전환
Ⅲ. 헌법적 가치와 녹색전환
Ⅳ. 녹색전환을 위한 헌법개정
Ⅴ. 녹색전환을 위한 기본법 제정
Ⅵ.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운(Han, Sang Un). (2020).녹색전환을 위한 헌법개정과 입법과제. 헌법학연구, 26 (4), 255-287

MLA

한상운(Han, Sang Un). "녹색전환을 위한 헌법개정과 입법과제." 헌법학연구, 26.4(2020): 255-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