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공조직인적자원관리의 변화와 함의
이용수 755
- 영문명
- Changes and Implications of Public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the United Nations Corona Crisis Respons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김판석(Pan Suk Kim) 천지윤(Ji Yun Chu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9권 제4호, 335~35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바이러스 위기가 확산되면서, 세계 최대의 국제조직인 국제연합(유엔)은 위기의식을 느끼고 필수인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직원이 재택근무하도록 조치하였고, 이어서 추가적인 인력관리대책도 내놓았다. 이와 같은 유엔의 위기 대응사례는 공공조직의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상당한 정책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엔의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진행과정 중의 인사차원의 대응방식과 위기대응 내용 등을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분석하여 인사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뉴욕에 있는 유엔본부는 코로나 대유행에 따라 현재 다수 직원이 재택근무를 하도록 하고 있고, 유엔조직의 직원 중 보건상의 위기에 직면한 직원들에게는 위험수당 등을 지급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뷰 등 직접 조사가 효과적이겠지만, 현재는 재택근무 등으로 접촉이 제한적이라 주요 문건과 유엔의 코로나 전담 웹사이트 등을 통해 인사규정, 인사조치 설명문과 행정지침 등을 중심으로 문헌연구 방식으로 연구하였다. 유엔의 인사・조직상 위기 타개를 위한 제반 조치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위기대응체제, 주요 위기대응 내용, 평가와 함의 그리고 결론 순서로 논의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crisis, the United Nations, the world s large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elt a sense of crisis and took measures to make most of its employees work from home except for critically essential personnel, followed by additional measures. The United Nations crisis response cases ar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public organizations.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personnel policy by analyzing the personnel-level response method, crisis response content, and decision-making method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during the UN coronavirus outbreak from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dimension. Currently, most employees in the UN headquarters in New York are working at hom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 research method such as direct interview or survey method would be appropriate, but at present, direct contact with UN staff is limited. Consequently, the authors go through the main documents of the UN and the website dedicated to coronavirus responses by the UN, in conducting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focusing on personnel regulations, personnel measures, and administrative guidelines. Therefore, the UN s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measures to overcome the crisis will be discussed in the order of crisis progress and response system, core crisis response content, policy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목차
Ⅰ. 서 론
Ⅱ. 위기 상황 전개와 유엔의 위기대응체제
Ⅲ. 유엔의 주요 위기대응 내용
Ⅳ. 평가와 함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친화정책이 공무원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및 혼인여부에 의한 집단 간 비교분석
-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사례분석 기초 연구
- 우리나라 직업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실현의 한계와 대안
-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이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유형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무직의 복무윤리에 관한 연구
- 조직특성과 전문직 정체성이 출입국관리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에 대응을 위한 공무원의 적극행정 필요성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정부 기관 자체평가 행태에 관한 조직학습이론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무원 교육훈련 변화 방향
- 일-가정양립제도 및 조직변화가 개인의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공무원 역량개발센터(Devlopment Center)의 효과 향상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공무원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공조직인적자원관리의 변화와 함의
- 포스트 코로나와 인사행정의 변화 방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사관리: 원격근무제를 중심으로
- 리더십, 심리적 권한위임 및 직무만족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