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정신병 약물 장기 복용 후 양안 각막 기질 색소침착 및 백내장이 발생한 2예
이용수 2
- 영문명
- Ocular Pigmentation after Long Term Use of Chlorpromazine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최진아(Jin A Choi) 김수영(Su-Young Kim)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9 No.2, 53~5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Chlorpromazine 장기 복용 후 안구독성이 발생한 2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과 방법: 정신분열증 진단 후 chlorpromazine을 장기 복용 중인 환자에서 시력 감소를 호소한 두 환자가 내원하였다.
결과: 양안 각막의 내측 기질, 데스메막, 내피에 걸쳐 과립상 색소가 침착되어 있었으며, 시축을 침범한 방사상 전낭하 피질 성상 백내장을 보였고, 각막내피세포수가 감소한 소견을 보인 2예를 보였다.
결론: Chlorpromazine 총복용량에 비례한 비가역적인 색소 침착이 발생하므로, 정기적 안과 검진이 필요하며, 정신과적 상태에 따라 가능한 약제의 변경이 고려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ocular changes after long term use of chlorpromazine.
Methods: Two cases were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fter long term use of chlorpromazine due to schizophrenia.
Results: They showed corneal granular pigment deposition in post. stroma, Descemet membrane and endothelium, stellate ant. subcapsular cataract involving visual axis, and also decreased corneal endothelial cell count, which were persistent, although the chlorpromazine was changed into olanzapine.
Conclusions: In cases of patients taking chlorpromazine, the regular ocular exa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ocular pigment deposition occurs according to the accumulative dosage of the medicine.
목차
증 례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상악 제1대구치 이소 맹출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치료법: 직접 싱글 니켈-티타늄 호선 테크닉
- Comparison of the Esthetic Perception on Various Anterior Malocclusion between the Parents of Orthodontic Patients with Different Malocclusion
- 바이오 급속교정의 특별한 발치교정치료법: Preformed C-Wire를 이용한 전치부 타겟 접근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