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동북부 생우 무역 환경의 변화

이용수 52

영문명
Changes of Live Cattle Trade in Northeastern Korea : Japan’s Perception of and Response to the Opening Sungjin Port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蔣允杰(JANG Yoon-goal)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86집, 7~4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함경북도 성진항 개항을 전후한 1890년대부터 러일전쟁 이전까지 조선과 러시아 간 생우 무역 환경 변화와 더불어 그에 대한 일본의 인식 및 대응을 일련의 역사적 전개를 통해 알아보았다.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과정에서 함경북도의 축산자원 유출 구조는 남부 지역과 대비되는 정치 경제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1888년 조러육로통상장정의 체결은 종래 암묵적으로 행해졌던 민간 레벨의 생우 수출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이것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반면, 여전히 기존의 밀무역 형태, 즉 ‘비공식’ 무역이 가진 지역사회에서의 영향력은 매우 컸다. 동시에 해로를 통해서도 이러한 형태의 무역은 횡행하고 있었는데 특히 러시아 상선에 의한 활동이 문제가 되었다. 이는 함경남도 원산을 거점으로 세력 확장을 꾀하고 있던 일본에게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일본 정부의 정책적 판단이 조선 정부에 압력으로 작용했고 1899년 함경북도 성진항 개항으로 이어졌다. 성진항 개항은 기존 생우 수출 구조에 또 하나의 공식 무역 경로가 추가됨으로써 함경북도 생우 무역에서 일본이 개입할 기반을 만들어준 사건이었다. 그리고 그 가시적 성과는 러일전쟁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연속적 과정을 거치며 조선 동북부 축산업은 점진적으로 일본 경제에 종속되어 가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Japan’s perception of and response to changes in live cattle trade between Korea and Russia during the period from 1890’s to the Russo-Japanese War in North Hamgyung Province. During the process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the outflow structure of livestock resources had greater polit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in this region than in southern Korea. Although exports of live cattle officially began in 1888, the trade was not put into practice. This was due to unofficial trade carried out by Russian merchant ships through unopened coastal ports. At that time, Japan, which had been trying to expand its power in this region, was strongly concerned about economic ties between Korea and Russia. As a result, Japan mounted pressure on Korea to open ports which eventually led to the opening of Sungjin Port in 1899. This meant that another formal trade route was added to the existing export structure. In addition, the basis for Japan’s intervention in the live cattle trade in this region was created, and its visible achievements appeared in earnest after Russo-Japanese War. Through this continuous process, livestock resources in northeastern Korea gradually became dependent on the economic system of Japan.

목차

1. 머리말
2. 공식적 대러 육로 수출 체제 성립과 그 한계
3. 일본의 조러 무역 인식과 대응
4. 성진항 개항과 무역 환경의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蔣允杰(JANG Yoon-goal). (2018).조선 동북부 생우 무역 환경의 변화. 한국근현대사연구, 86 , 7-40

MLA

蔣允杰(JANG Yoon-goal). "조선 동북부 생우 무역 환경의 변화." 한국근현대사연구, 86.(2018): 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