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10만세운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90

영문명
The 6·10. Independence Movement’s Current Research Status and Task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金性玟(KIM Sung-min)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90집, 39~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 학계는 6·10만세운동 당시 조선공산당의 주도성을 인정하면서도 조직상의 한계로 인해 광범위한 대중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실패하였다고 보았다. 최근에는 좌우합작운동의 시원으로서 그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는 등 관점의 전환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1960∼1970년대 남한학계의 연구는 모두 6·10만세운동을 학생운동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조선공산당 계열의 준비가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고, 실제 만세시위를 전개한 주체는 학생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1990년대에 들어 종래 학생 중심의 현상적 파악에서 벗어나, 사전 준비과정과 각 운동주체의 연계활동에 주목한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이를 통해 6·10만세운동이 조선공산당과 당시의 민족운동계가 광범위하게 연대한 민족협동전선의 선도적 활동이었음이 밝혀졌다. 향후 6·10만세운동 연구는 당시 민족운동계가 추진한 광범위한 연대의 세부적인 사실관계를 좀 더 분명하게 구명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거시적 관점에서 이후 민족운동계에 미친 영향을 포함한 역사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North Korean academia acknowledged the initiative of the Chosen Communist Party during The 6·10.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y viewed the movement as a failure to draw a widespread public participation due to the organizational limitations. Recently, there has been a shift in perspective, as it sheds new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he origin of Left-Right Coalition Movement.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n academia studies in the 1960s and 1970s all understood The 6·10.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 movement. They stressed that the preparations of the Chosen Communist Party were discovered in advance and failed, and that it was the student who stag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arly 90s, research focused on the advanc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linked activity of each movement subject was published, mov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student-centered phenomenological grasp. It was revealed that The 6·10. Independence Movement was a leading activity in the National Co-operated Front Movement, which was extensively joined by the Chosen Communist Party and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time. The study of The 6·10.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uture should shed more light on the detailed facts of the broad alliance promoted by the national movement at that time. Through this process, historical assessments, including the impact on the national movement, should be made from a macro perspective.

목차

1. 머리말
2. 북한학계의 연구성과
3. 남한학계의 연구성과
4. 향후 연구과제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性玟(KIM Sung-min). (2019).6·10만세운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근현대사연구, 90 , 39-63

MLA

金性玟(KIM Sung-min). "6·10만세운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근현대사연구, 90.(2019): 39-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