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고분 출토 철부(鐵釜)의 부장과 의의

이용수 280

영문명
The Meaning of Iron Pot Excavated from Shilla Ancient Tomb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은경(Kim, Eun-Kyu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1호, 38~71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분에 부장되는 각종 금속용기들은 피장자의 성별, 지위, 성격 등을 알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된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에서는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나 금속용기를 부장유물로만 보고 그 기능이나 배치상이 담고 있는 의례적 의미를 간과해 온것이 사실이다. 최근 연구들은 주곽과 부곽에 배치된 토기의 종류와 준비과정, 배치방식의 차이에 주목하고 주곽의 토 기를빈전의 상차림 혹은 음식 봉헌으로 규정지은 연구들이 활발해 짐에 따라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금속용기들의 부장정형을 세밀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신라 고분에서 출토되는 철부는 5세기 이른 시기부터 6세기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부장된다. 주로 피장자 머리 부분의 유물부장궤 내에서만 출토되고, 대각을 제외한 발형기대의 신부를 뚜껑으로 사용하며, 횡장형의 동체에 동최대부는돌대나 전이 돌아간다. 이러한 철부는 위계가 높은 고분에서 많게는 4점, 적게는 2점이 부장되고 일부 중소형분에서도 1점이상이 부장된다. 그러나 확연한 차등부장으로 보기는 어렵고 다양한 봉헌의례의 가능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공반되는다른 금속용기들과 같이 살펴보면 철부와 함께 초두, 합, 완, 청동정 등이 크게 하나의 세트관계를 이루어 부장되고, 부분적으로 높은 위계성을 보이는 고분에 한하여 위두, 고배, 반 등이 추가로 부장된다. 또한 합, 완 등은 각각 4점씩, 6점씩 부장되는 복수부장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현상은 피장자의 장지에서 사용된 음식공헌유물이 그대로 고분에 부장되는것으로서, 이는 집단들 사이에서 자신의 친족조상에게 음식을 과시적으로 제공하고, 일정한 의례행위를 행함으로 그 권위와 신망을 높이려고 한 차별화 과정의 산물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중국의 왕권을 상징하는 의미에서의 구정(九鼎)을 부장한 사례나 한대(漢代)에 들어와 일정한 방식의 성찬의례가 이루어진것과 같이(이성주 2014), 신라 고분에서도 음식을 일정한 방식으로 봉헌하는 의례가 과시적이면서 평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철부나 철정이 부장되는 의미는 죽이나쌀을 찌고 삶음으로서 제액초복(除厄招福), 정화력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information about various ironware relics from Shilla ancient tombs is very poor because most of themwere excavated and studi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iron pot has wide entry and deep depth to be usedto cook the large amount of rice or soup; as a cooking utensil, the iron pot holds a key position in the culture ofKorea where rice has been a main food. The 5~6th century iron pots excavated from Gyeongju Area are horizontal and have rotating handles inthe middle of them; they have been mainly excavated from head part of tomb’s owner, or the outer coffin forowner’s belongings. These kind of ironware relics were mainly buried with other various metal containers suchas metal mounted flat cups, metal bowl, and bronze pot; higher social class the owner was belonged, morevarious and more numbers of relics were buried with him or her. We can assume the table setting about ancestralrites for the owner of the tomb because other metal containers than the ironwares were usually buried in a 4 or6 piece set. Because it is highly possible to find grains in the containers, and there has been a myth about therelationship between the grain and ancestors’ soul, we can also assume the special ceremony related with grain. With other containers, the iron pot excavated from Shilla ancient tomb can be buried for ceremony for ancestorsor symbolizing the royal author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철부의 개념과 신라고분 출토 철부
Ⅲ. 철부의 부장양상과 변천
Ⅳ. 철부 부장 고분의 피장자와 의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Kim, Eun-Kyung). (2015).신라고분 출토 철부(鐵釜)의 부장과 의의. 영남고고학, (71), 38-71

MLA

김은경(Kim, Eun-Kyung). "신라고분 출토 철부(鐵釜)의 부장과 의의." 영남고고학, .71(2015): 38-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