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南江流域磨硏土器의 變化와 時期區分

이용수 99

영문명
Changes of Burnished Pottery from the Namgang Basin and the Transition of the Perio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宋永鎭(Song, Yoyng-Ji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60호, 31~7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의 마연토기는 시간성이 길고, 한반도 전역의 다양한 유구에서 출토하고 있으며, 기종과 형식구분이 뚜렷하기 때문에 편년과 지역성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에 한반도에서 마연토기가 가장 성행했던 남강유역을 대상으로 마연토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남강유역 청동기시대 시기변화에 대해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남강유역에서 마연토기는 청동기시대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여 시기변화와 궤를 같이하면서 기종과 형식,기능이 변화되어 간다. Ⅰ기는 남강유역에 마연토기가 처음으로 유입되는 시기로서 대부발, 소형심발, 평저장경호 등이 유입된다. 이 시기 남강유역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형식의 마연토기를 확인할 수 있다. Ⅱ기는 Ⅰ기에 도입되었던 평저장경호가 형식변화하여 계속 사용되는 한편, 새로운 기종으로서 채문호, 이중구연완이 출현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새로운 기종의 마연토기는 남강유역에서만 유행하고 있어 기종의 지역화가 심화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Ⅲ기는 채문호가 적색마연호로 변화되고, 이중구연완이 횡침선문토기로 변화되는마연토기의 자체변화기이다. Ⅳ기는 적색마연토기 유행기로서 적색마연호, 완, 소옹, 이형적색마연토기 등 다양한 기종들이 나타난다. 마연토기에 보이는 변화의 획기는 공반하는 유구, 유물에서도 동일하게 살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남강유역의 시기구분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Ⅰ기는 전기(기존의 조기~전기전반), Ⅱ기는 신중기설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중기(기존의 전기후반), Ⅲ기는 중기에서 후기로의 과도기(기존의 전기말~후기초), Ⅳ기는 후기(기존의 후기)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시기변화과정에는 두 가지의 변화양상이 간취되는데, 하나는 전기에서 중기로의 변화에 보이는‘급변성’이고, 다른 하나는 중기에서 후기로의 변화과정에 과도기가 개재하는‘점진성’이다. 시기변화에 보이는 급변성과 점진성은 시기변화를 구분하는 획기, 변화에 미친 외래요소의 정도, 변화의 주체 등에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Burnished Pottery in the Bronze Age has been excavated along with a wide range of features across the Korean Peninsular, featuring a long time and distinctive division among types and forms of pottery. Accordingly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terial to the study on the chronolog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is designed to look into the changing process of the burnished pottery on the subject of the Namgang Basin where the burnished pottery was most prevalent in the Korean Peninsular, then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period regarding the Namgang Basin. The Burnished Pottery in the Namgang Basin emerged along with the launch of the Bronze Age,then, has changed its types, forms, and functions in line with the period changes and flows of the age. In the 1st period, a mounted bowl and a long-neck jar with round out bottom were initially introduced. In other regions similar burnished potteries were identified in this period so that this period could be called as the introductory period of the burnished pottery. In the 2nd period, a long-neck jar with round out bottom introduced in the previous period was used while having its form changed. As a new type, a painted jar and a double rimmed bowl turned up. This type of a new burnished pottery emerged in the combination of the external factors with internal factors. In particular, the Peninsularization of the type of pottery was more intensified in the wake of 재지 factors ‘ inclusion. In the 3rd period the painted jar evolved into a red-burnished jar; a double rimmed bowl into a horizontal pattern pottery which is the self-changing period of the burnished pottery. These changing phases have been detected in other features and relics. In the 4th period, all the existing burnished potteries used underwent a complete change into a red-burnished pottery: there were a variety of types such as red-burnished jar, bowl, small jars, and hetero-red burnished pottery. Changes of the above burnished pottery have seen two aspects:one is the sharpness which are seen in the 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iod. The other is the continuity of the third period which lies in the middle of changing process to the fourth period from the second one. Periodization for changes and the two aspects in the process of change which were seen in the burnished pottery are similarly found in the associated features and relics. Accordingly, these traits can be adopted to the periodization of the Namgang Basin. Specifically, the 1st period is matched to the 1st stage (the existing early~the half period of the first period), in view of supporting a neo-middle stage hypothesis, the 2nd period to the middle stage (the existing last period of the first period), the 3rd period to the Hachonri-stage as a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middle and latter stage (the existing latter period of the first period~first period of the latter period), and 4th period to the latter stage (the existing latter period), respectively.

목차

Ⅰ. 머리말
Ⅱ. 分類와 變化
Ⅲ. 編年檢討
Ⅳ. 分期와 時期區分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宋永鎭(Song, Yoyng-Jin). (2012).南江流域磨硏土器의 變化와 時期區分. 영남고고학, (60), 31-72

MLA

宋永鎭(Song, Yoyng-Jin). "南江流域磨硏土器의 變化와 時期區分." 영남고고학, .60(2012): 3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