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렵ㆍ채집 경제에서 농경으로의 轉移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용수 438

영문명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in Prehistoric Kore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李俊貞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28호,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고고학에서 농경의 기원을 연구하는 데 있어 이론적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는 목적 하에 본고에서는 수렵 · 채집 경제로부터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과 그 원인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 농경의 기원에 대한 기존의 학설들이 기초하고 있는 이론적 전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농경 우위설, 자원 부족설, 사회적 요인설, 이데올로기 변화설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환경의 변화, 인구의 증가, 사회 복합성 증가의 세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고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한국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논의들은 크게 이주설과 인구압설로 요약되는데, 양자 모두 농경 발생의 원인과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데 한계가 있어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를 위해서는 농경민의 이주, 농경민과 수렵 · 채집인들 간의 상호작용, 수렵 · 채집인들에 의한 재배종과 농경 기술의 도입 등의 여러 가능성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하며, 지역에 따라 이러한 양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졌을 경우도 염두에 두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한반도에서 농경으로의 전이가 일어난 원인에 대해서는 현재로는 구체적인 논의가 불가능하나, 기후의 변화, 인구의 증가, 그리고 사회복합성 증가의 세 가지 요소에 모두 가능성을 열어 두고 연구를 진행해 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current literature, the processes and causes of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have been discussed using four major theoretical approaches. Each group emphasizes a different factor as the major cause for the transition: (1) the inherent advantages of agriculture, (2) the population-resource imbalance, (3) social demands, or (4) ideological changes. Among them, the second and the third approaches have been prevalent in the discussion of the agricultural transition around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pressure model that emphasizes the role of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 as a major causal factor has been one of the most prevalent models for explaining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population increase or climatic/environmental changes could not be a primary cause for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Rather, changes in climate, environment, or population density may have created important shifts in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tress, and the use of domesticated plants could be one of these new risk-reduction strategies. The social approach has become more prevalent in discussions of agricultural transition in recent years. It emphasizes that the role of social demand among hunter-gatherers to produce food surplus was a driving force in the emergence of an agricultural economy. Major models of the Korean agricultural transition are assessed based on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major theoretical approaches for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This review concludes that the traditional models have failed to reveal the underlying causes and to illustrate its complex processes. An alternative model is required that addresses three significant changes noticed at the time of the agricultural transition in Korea: (1) climatic/environmental changes, (2) population growth, and (3) the emergence of social inequality.

목차

I. 서론
II. 농경에 대한 개념 규정
III. 농경으로의 전이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
IV. 한국에서의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俊貞. (2001).수렵ㆍ채집 경제에서 농경으로의 轉移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영남고고학, (28), 1-33

MLA

李俊貞. "수렵ㆍ채집 경제에서 농경으로의 轉移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영남고고학, .28(2001):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