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시대 전기 유개대부토기 편년

이용수 276

영문명
The Chronology of the Lidded Leg Jars in the Early Proto-Three Kingdome of Kore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안유리(Ahn Yuri)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6호, 37~6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기원후 1-2세기에 영남과 호서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 유개대부토기의 편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유물인 유개대부토기는 다양한 기형을 가지고 있으며 영남과 호서지역의 분묘 유적에서 주로 출토된다. 유개대부토기는 형태와 제작 방식을 통하여 분류할 수 있는데, 개와 대부토기는 별도로 분류하였다. 우선 개의 경우는 삿갓형과배형으로 분류하고, 삿갓형개는 다시 접합 방식에 따라 삿갓형Ⅰ류와 삿갓형Ⅱ류로 세분된다. 대부토기는 대각 위에얹어진 토기의 형태로 유개대부배, 유개대부호, 유개대부옹으로 분류된다. 분류된 유개대부토기는 형식학적속성분석법을 통하여 편년할 수 있는데, 이때 유개대부배의 상반부고 속성과 삿갓형개의 드림고 속성, 그리고 대부호의 전체 비율 속성이 시간성 반영에 유효한 속성임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유개대부배와 삿갓형Ⅱ류개는 7개의 단계, 삿갓형Ⅰ류와 대부호는 6개의 단계로 형식 조열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공반되는 와질옹과 주머니호,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를 중심으로, 철기 유물를 보조적 검증 수단으로 활용하였고, 목관묘 단계와 교차 검토하였다. 유개대부토기의 공반 유물과 기종 간의 공반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순서배열보충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유개대부토기의 공반상과 군집, 단계를 확인하였다. 순서배열보충법을 통한 양식편년 결과 유개대부배와 유개대부호는 각각 5기로 확인되었고, 기존 연구의 목관묘 단계를 적용·비교하여 유개대부토기는 총 5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유개대부토기를 통하여 설정한 1·2기는 Ⅳ·Ⅴ단계로, 1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이 단계가 되면 영남지역에서 유개대부배가 등장한다. 3기는 Ⅴ·Ⅵ단계로, 1세기 후엽에 해당한다. 호서지역에서 점차 유개대부호가 등장하는 시기이다. 4기는 Ⅵ·Ⅶ단계로, 1세기 후엽 ~ 2세기 전엽에 해당한다. 영남에서 유개대부호와 호서에서 대부배, 전기와질토기가 출토되는 단계이다. 5기는 Ⅶ·Ⅷ단계로, 2세기 전~중엽에 해당한다. 유개대부토기가 점차 소멸하는 단계이자 전기와질토기의 마지막 단계이다. 유개대부토기의 4기에서 언급하였던 양 지역에서 상대지역 유물이 확인되는 현상은 단순한 유물의 이동이 아닌 전파 혹은 교류를 통하여 토기와 철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Lidded leg jars are brick-clay pottery from the early proto-Three Kingdome of Korea. These artifacts are mainly discovered in the Yeongnam and Midwest regions in Korea. As they are excavated from both regions, these artifacts could be crucial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nam and Midwest regions. Through this essay, three points could be considered. Firstly, the Youngnam and Midwest regions produced totally different types of pottery in the early time. Next, when it goes to VII level, Both regions affected each other and share the pottery form. Lastly, VII and VIII levels are very significant. In early time, both regions had their unique and different pottery types. However, they started to share the shape of the pottery in VII and VIII levels. The early types of each regions originally thought to be exclusive, now they are found in each other area. Normally, it is believed that the early brick-clay pottery does not have leg and lid while the typical type of brick -clay pottery in late proto-Three Kingdome has both of them. Potteries from after VIII level are the late brick-clay pottery. However, these lidded leg jars are from the early time and they already have a lid and leg. According to these, it could assume that the early lidded leg jars has some connection with the late pottery. Hence, the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later.

목차

Ⅰ. 머리말
Ⅱ. 속성과 형식설정
Ⅲ. 양식 편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유리(Ahn Yuri). (2020).원삼국시대 전기 유개대부토기 편년. 영남고고학, (86), 37-68

MLA

안유리(Ahn Yuri). "원삼국시대 전기 유개대부토기 편년." 영남고고학, .86(2020): 37-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