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6世紀 鐵鋌副葬을 통해 본 金官加耶 交易網의 變化

이용수 275

영문명
Changes in Trade Networks of Geumgwan-Gaya Looked atThrough Iron ingots As Burial Goods During the 4th~6th Century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춘선(Lee Choon Su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6호, 99~13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4~6세기 낙동강하류역과 동남해안 분묘에서 출토되는 철정을 분석하여 금관가야의 교역망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금관가야 연맹체의 상호작용 범위와 양상의 일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남해안일대와 낙동강하류역의 분묘에 부장된 철정을 형식으로 분석하고 공반되는 유물을 통해 철정의 형태변화를 시간적으로 Ⅰ∼Ⅸ단계로 그 변화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철정의 부장양상을 분묘의 규모, 철기와 토기의 부장을 통한 위계를 정리하였다. 철정이 3세기중엽 판상철부형 철정의 형태를 이어받아 3세기 말부터 금관가야의 중심권인 김해 대성동과 부산 복천동의 최상위계층에 레일처럼 부장되었다.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전반에는 철정의 형태가 15~22cm(ⅢBc)대칭형이면서 호형의 형태로 규격화되는 경향이 강하고 중하위 위계분묘에 묶음형으로 내부에 집중 부장되며 중소형고분군 내에서도 위계가 있는 분묘에 부장이 증가하고 있다. 5세기 중반이후에는 10~15cm의 대칭형의 인부가 호형이며 너비폭이 좁은 형태(ⅣBc)가 증가하고 중소형의 분묘군 내에서 위계가 낮은 분묘에서도 철정이 부장된다. 이와 함께 철 제련 도구인 망치, 모루, 집게의 제련도구와 부장이 두드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철기제작의 계층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는 3세기말 4세기 초부터 수장층을 중심으로 대형분묘에 재화로서 부장되는 철정이 4세기 중후반에는 소지역단위의 공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소형 고분군에 부장되며 중심고분인 대성동유적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며 통제받는 형태였다. 그러나, 5세기 이후에는 단위 소 지역 정치체들의 읍락별 철 생산기능이 가능하였다. 이후 대외교역로를 상실한 금관가야가 낙동강 내륙의 정치체와 남해안연안을 통한 소지역 정치체의 교역 유통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낙동강하류와 남해안의 소지역 단위 정치체들이 후기 금관가야의 교역항으로서 동등하게 상호작용하여 고구려남정 이후에도 금관가야 지역정치체로서 유지해 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changes in the trade networks of Geumgwan-Gaya by analysis of the iron ingots excavated as burial goods from the 4th ~ 6th century ancient tombs in the areas of Nakdonggang River the southeast coast, and identify the scope and aspects of the interactions in the Geumgwan-Gaya Federation through it.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iron ingots buried in the ancient tombs in the areas of the southern coast and the lower Nakdonggang River by the forms and organized th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iron ingots divided into periods ofⅠ ~ Ⅸ stages through the relics excavated together. Next, this study organized the buried aspects of those iron ingots by the hierarchy through the size of the tombs, and the burial goods of ironware and earthenware. Taking over the form of the plate-shaped iron ax in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the iron ingots were buried like a rail in the tombs for the highest hierarchy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3rd century in the areas of Daeseongdong, Gimhae and Bokcheon-dong, Busan, where were the center of Geumgwan- Gaya. Starting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early of the 5th century it shows the strong trend in the shape of the iron ingots being standardized into the symmetrical arc from of 15~22cm(ⅢBc), which are buried in bundles concentratedly inside the middle of the tombs for the early and lower hierarchy, and the number of tombs with hierarchy is increasing even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ancient tombs as well.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symmetrical ones in the 10~15cm with arc blade and narrow-width (ⅣBc) are increased, and the iron ingots are buried also in the tombs for the lower hierarchy ou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tombs. Together with the iron ingots, it shows noticeable burial goods of iron smelting tools such as hammers, anvils and tongs, evidencing that the hierarchy of ironware making becomes diversified. This shows that the iron ingots, that had been buried as a wealth symbol in the large-sized tombs for the highest hierarchy since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were buried in the small and middle-sized tombs for the highest hierarchy who formed the craftman networks in iron production by small regional unit in the middle and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and they took in charge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iron ingots for the highest hierarchy of the Daeseong-dong ancient tombs under the control of them. However, after the 5th century, it became possible of iron production function by towns & villages of political structures in small unit areas. Since then, Geumgwan-Gaya, which lost its foreign trade routes, was transformed into a form of trade & distribution between the political structures in the inland area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the ones in small areas through the southern coast. Thus, those political structures in the small unit areas of the lower Nakdonggang River and the southern coast continued to maintain as the regional political structures of Geumgwan-Gaya even after the southern conquest by Goguryeo Kingdom, while interacting on equally basis as the trade ports of the later Geumgwan-Gaya.

목차

Ⅰ. 머리말
Ⅱ. 철정형식과 시간적 변화
Ⅲ. 철정 부장양상과 위계
Ⅳ. 철정부장으로 본 금관가야 교역망의 변화와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춘선(Lee Choon Sun). (2020).4~6世紀 鐵鋌副葬을 통해 본 金官加耶 交易網의 變化. 영남고고학, (86), 99-138

MLA

이춘선(Lee Choon Sun). "4~6世紀 鐵鋌副葬을 통해 본 金官加耶 交易網의 變化." 영남고고학, .86(2020): 99-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