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官營造瓦體制의 成立

이용수 529

영문명
The Making of Roof Tile-Making System by Shilla Government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최영희(Choi Yeong-Hee)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6호, 139~16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의 목적은 慶州地域 내에서 기와가 生産·流通되었던 양상을 통해 新羅 造瓦體制의 成立과 展開 방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古新羅式 기와는 평기와와 수막새의 기술요소 및 그 조합양상에 따라 造瓦系統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고, 계통별 생산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각의 조와계통은 서로 다른 제작방식에 기초하여 독자적 생산을 영위하면서도, 규격·와당 문양·초기 암막새에 관한 정보 등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都城 전역의 기와 수요에 대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 7세기전·중엽에는 생산유적의 차이에 관계없이 기와의 제작방식이 정형화되고, 기존의 크기가 조금씩 바뀌며, 유통과 사용에 용이한 보급형 와당문양(新羅系 수막새)이 출현하는 변화를 보인다. 이것은 경주지역 내에 官營生産體制가 갖추어지고 복수의 瓦工集團이 제도적 틀 안으로 편입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조와집단을 해체시키는 것이 아닌 제도적 정비를 통해 생산·유통 구조의 효율성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동시기 百濟와 日本 畿內地域에서도 유사한 조와체제의 성립 및 변화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생산체제의 실현은 국가의 중앙집권적 정치 상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統一新羅式 기와의 출현과 함께 기와생산에 또 한 번의 변화가 일어난다. 7세기후엽부터 일정 기간 동안 새롭고도 다양한 와당문양의 창출과 그 문양을 효과적으로 장식하기 위한 와범 구조의 교체, 분화된 기와부자재의 사용 등 意匠 위주의 시각적 부분에 집중되는 변화이다. 당시의 대표적 와당문양인 重辦구조의 연화문 수막새 두 사례의 와범별 문양을 분석해본 결과, 同型의 문양을 가진 다수의 와범 및 수막새가 여러 생산유적에서 공통적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근본적으로 7세기전·중엽 신라계 연화문 수막새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유려한 문양을 가진 양질의 기와를 생산하고자 하였던 당시의 의도는 오히려 금장리요지, 다경요지와 같은 일부 조와집단에 생산력이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8세기에 들어서면서 기와의 생산은 평기와를 소량화·경량화시키고 문양은 도식화 되는 등 보다 기능적인 경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재정비되는 전개를 보이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aking and development through the pattern in which the roof tiles have been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area of Kyungju. According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combination patterns of the flat and Roof-end tiles, the tiles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types. The author examined the method of production by syst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ch tile making responded to the tile demand throughout the capital by sharing information such as standard, wadang patterns, and the use of early rock mules, while maintaining independent production based on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Later, at some point in the 7th century, tile-making methods are stereotyped, existing sizes are changed little by little, and there is a change in the appearance of low-grade wadang patterns that are easy to distribute and use,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production relics. This means that there is a governmental system of production in the Gyeongju area and multiple groups of tile makers are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In other words, similar changes in the system are being identified in the same period Baekje and Ginai in Japan in a way that leads to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through institutional readjustment rather than dismantling existing groups. With the advent of tile styled of Reunified Shilla another change occurs in tile production. From the late 7th century onwards, it is a change that focuses on the visual aspect focused on design, including the creation of new and diverse wadang patter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replacement of Wabum structures to effectively decorate them, and the use of differentiated tile components. But this pattern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framework of the state-run production system formed seven centuries ago. The analysis of the two cases of Jungbyun structure s Yeonhwamun Roof-end tiles shows that a number of Wabums and Roof-end tiles were produced in common at various production sites, and this phenomen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illa-styled Yeonhwamun Roof-end tiles dating back to the 7th century. However, the willingness of those days to produce quality roof tiles with elegant patterns rather results in the concentration of some groups of productive forces, such as pottery sites of Geumjangri and Dakyung. Intensive production of the engraved Amkiwa in the 8th year of Uibong is also the result of this transition. Later, as the 8th century entered, tile production was reorganized: the flat tiles were produced fewer and their weight became lighter while the design was schematized. If reflects the tendency that the functional value was prefered.

목차

Ⅰ. 머리말
Ⅱ. 新羅기와의 生産과 流通
Ⅲ. 新羅 官營造瓦體制의 成立
Ⅳ.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희(Choi Yeong-Hee). (2020).新羅 官營造瓦體制의 成立. 영남고고학, (86), 139-165

MLA

최영희(Choi Yeong-Hee). "新羅 官營造瓦體制의 成立." 영남고고학, .86(2020): 139-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