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土偶를 통해 본 金冠加耶 社會의 一面

이용수 265

영문명
A Facet of Geumgwan gaya society through their Clay Doll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다빈(Kim Dabin) 민경선(Min Gyoengseo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4호, 31~5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흙으로 만든 인형을 뜻하는 토우는 주로 경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권역에서 다수 출토하였다. 이에 따라 신라의 토우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고 이제까지 토우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상대적으로 가야의 토우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인데 출토 사례가 매우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기인했을 것이다. 최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 중인 금관가야 추정 왕궁지 유적에서 다양한 종류의 토우가 출토하여 주목을 받았다. 이보다 앞서 김해에서는 한옥생활체험관 부지 조성을 위한 발굴조사에서 인물형토우를 비롯한 다양한 토우가 출토된 사례도 있다. 본고는 이러한 새로운 자료를 바탕으로 신라가 아닌 가야의 토우, 그 중 금관가야 권역에서 출토된 다양한 종류의토우를 통해 당시 금관가야 사회에서의 토우의 성격과 역할, 의미를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금관가야의 중심지역으로 추정되는 봉황동 유적은 주거지를 비롯한 생활시설, 접안시설, 교역시설, 공방지, 토성등으로 이루어진 복합유적이다. 봉황동 유적 내의 주요 지점에서 다양한 토우가 출토하였는데 이는 당시 가야인들이토우를 이용하여 주요지점에 대한 의례행위를 했던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추정 왕궁지 유적을 제외한 봉황동 유적에서는 마형토우와 제기형토우가 주로 나타난다. 봉황동 유적 내에서 추정 왕궁지 유적은 인물형토우, 동물형토우, 가형토우 등 다양한 종류의 토우가 출토되어 다른 지역과는 차별화된 경향이 두드러진다. 추정 왕궁지 유적과 함께또 다른 복합적 성격을 지닌 한옥생활체험관 부지 내 유적에서도 다양한 토우가 출토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를 종합했을 때 추정 왕궁지 유적과 한옥생활체험관이 위치한 것과 같은 주요지점에서 지배집단에 의한 집안의 안녕이나 공동체와 관련된 것들 기원하는 등과 같은 국가의 주요 의례를 토우를 통해서 행했을 가능성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금관가야 권역인 고김해만 일대에 위치한 여러 유적에서도 나타난다. 고김해만의 주요유적에서 다양한 의례행위가 토우를 통해서 이루어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Clay Dolls, which means a doll made of earth, was excavated from the Silla area, mainly in Gyeongju. Accordingly, research on clay figurines in Silla has been carried out actively and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it was mostly Silla’s clay figurines which have been mostly studied so far. The study of clay figurines of Gaya has been relatively slow,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the cases of excavations are very limited. Recently, various types of clay figurin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presumed royal palace site of Geumgwan Gaya under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arlier in Gimhae, a variety of clay figurines, including character clay figurines, were excavated in an excavation to create a site for a hanok living experience center. Based on these new data, this paper tries to infer the different characters, roles and significance of clay figurines in Gaya society, by studying various kinds of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Geumgwan Gaya territory. Bonghwang-dong, which is believed to be the center of Geumgwan Gaya, is a complex of relics including living facilities, hospitality facilities, trading facilities, workshop sites and earthen fortresses. Various clay figurines were excavated at the main sites of Bonghwang-dong s historical site, from which that the people of Gaya used clay dolls to perform ceremonial acts there can be inferred. In Bonghwang-dong sites other than the presumed royal palace ruins, horse shaped clay dolls and the clay dolls resemble utensils used in rituals are usually found. human figured clay dolls, animal figured clay dolls, house figured clay dolls have been excavated around the presumed royal palace ruins within Bonghwang-dong site which differentiates this region from the rest of the site. Along with the presumed royal palace ruins, there is a tendency of various clay figurines being found in the other ruin in the hanok living experience center with multiple purpose relics. In conclus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lay dolls had been used to wish for the well-being of the family members by the ruling group, or the well-being of the community at importance areas like the presumed royal palace ruins and the hanok living experience center ruins. This kind of tendency is found in many ruins around the Ancient Gimhae Bay(Gogimhae-Man), which leads to an assertion that various rituals and ceremonial acts had been carried out using clay dolls throughout that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봉황동 유적 출토 토우의 특징
Ⅲ. 토우를 통해 본 금관가야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빈(Kim Dabin),민경선(Min Gyoengseon). (2019).土偶를 통해 본 金冠加耶 社會의 一面. 영남고고학, (84), 31-58

MLA

김다빈(Kim Dabin),민경선(Min Gyoengseon). "土偶를 통해 본 金冠加耶 社會의 一面." 영남고고학, .84(2019): 3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